최종구 금융위원장은 9일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주식 매각을 압박한 것이 ‘삼성 때리기’라는 지적을 부인했다. 그는 삼성생명의 전자 주식 매각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시장의 안정을 위해 매각을 압박한 것으로 밝혔다.
최 위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금융회사의 계열사 주식소유에 대해 개선을 강조한 것이 특정기업에 대한 정부 영향력 확대라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이 사안은 금융회사의 건전한 자산운용 및 재무건전성 강화, 계열사 부당 지원 방지 등 금융시스템의 건전성·안정성 차원에서 검토·개선이 진행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달 20일 간부회의에서 “금융회사의 대기업 계열사 주식 소유 문제의 경우 관련 법률이 개정될 때까지 해당 금융회사가 아무런 개선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법 개정 이전에라도 금융회사가 단계·자발적 개선조치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방안을 적극 강구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시장에서는 최 위원장의 간부회의 발언이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지분 매각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했다. 삼성생명은 삼성전자의 지분 8.27%를 보유하고 있다. 만약 보험사가 계열사 주식을 보유자산의 3%(시장가치 기준)까지만 보유하도록 규정한 보험업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삼성생명은 20조원에 가까운 삼성전자 주식을 매각해야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나온 최 위원장의 발언이 '삼성 때리기'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최 위원장은 이에 대해 “이번 사안의 목적이 특정기업에 대한 정부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금융시장 안정을 책임지는 금융당국이 시장 전반에 영향이 큰 사안에 대해 시장 참가자들이 관련 사안의 영향을 사전에 평가·대비토록 유도하는 것은 기본적인 책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융회사가 금융시장, 소액주주 등 다수 이해관계자, 투자자 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단계적 개선방안을 마련하면 향후 정책방향에 참고·반영할 것이며, 국회 법률개정 논의 과정에서도 관련 사항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최 위원장은 지분 매각과 관련해 발생할 수 있는 외국 투기자본의 경영권 공격에 대해 “실제 그러한 우려가 있다”면서도 “그 상황을 잘 아는 금융회사가 그것까지 감안해서 자발적 개선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