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기초과학연구원(IBS)의 방만 경영과 관련 정부가 기관운영 특별점검을 실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책위원·전문위원 제도, 연구직과 행정직에 대한 처우, 겸직·병가 등 인력관리, 중이온가속기사업단 운영 등 기초과학연구원의 조직운영에 대한 특별점검에 나선다고 5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특별점검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개선해 IBS의 기관설립 취지에 맞게 연구자가 대우받고,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우수한 연구 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011년 설립된 국내 기초과학 전담 연구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대학이나 출연(연)이 하기 어려운 자연현상의 근원을 탐구하는 도전적인 기초과학 연구를 통해 새로운 과학지식을 창출하고, 우수 인력 양성 등을 목표로 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세계석학 수준의 연구단장 선발과 자율적 연구단 구성, 외부대학에 연구단을 설치하는 개방형 연구조직과 유동적 선진 인력 시스템, 연구비 100% 출연으로 안정적인 지원고 수월성 중심 질적 평가 등 선도형 기초과학 연구모델을 도입했다.
현재 기초과학연구원은 28개 연구단을 운영하고 있고, 세계 최고 1% 과학자 250명(누계) 등 세계적인 과학자들이 모여 2016년 네이처의 ‘세계 100대 떠오르는 별’ 11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하지만 올해 국정감사에서 행정직에 비해 연구직에 대한 처우가 낮다는 의혹과 성과급, 수당, 겸직, 병가 등 인력관리, 비정규직 문제, 중이온가속기사업단 운영 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과기정통부는 관련 부서와 연구회 및 출연(연) 전문가들로 합동점검단을 구성해 6일 오전 첫 회의를 열고 특별점검을 실시한다. 이번 점검에서 과기정통부는 IBS와 유사 연구기관의 운영과 연구직·행정직 처우수준에 대한 비교검토, 현장점검을 통한 사실 확인, 연구자 의견수렴 등을 통해 이번 달 말까지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해 시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과기정통부는 중대한 문제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추가감사 등을 통해 공공기관인 IBS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엄정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