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섭 의원 “무리한 신재생에너지 보조금 지급, 전기요금 인상 요인”

정유섭 의원 “무리한 신재생에너지 보조금 지급, 전기요금 인상 요인”

기사승인 2019-03-11 14:37:51

지난해 정부가 태양광‧풍력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이 2조6000억원 가량의 정부 보조금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2017년 신재생에너지 정부보조금 2조607억원으로 2조원을 넘어선 이후 1년 새 5300억원 가량이 늘었다. 반면 정부의 원자력 발전 관련 예산은 4667억원으로 확인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자유한국당 정유섭 의원은 지난 10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자료에 의하면 정부가 지난해 태양광‧풍력‧바이오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지급한 보조금은 2조5963억원이었다. 태양광 발전에 1조1771억원, 풍력 발전에 1484억원, 바이오에너지 사업에 7104억원 등이 지급됐다.

정부 보조금은 국민이 내는 전기요금 중 일부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보조금은 해마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에 따르면 2016년 1조7954억원에서 2017년 처음으로 2조원을 넘어서 2조607억원을 기록했고, 지난해에 또 다시 5300억여원이 늘었다.

신재생에너지 보조금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태양광 발전 보조금으로 확인됐다. 지난 2016년 9409억원, 2017년 1조17억원, 2018년 1조1771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태양광 발전 보조금이 전체 보조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5.3%에 달했다.

보조금에는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지원 사업과 발전 차액(差額) 지원 사업 보조금과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금액 등이 포함된다.

한국에너지공단은 가정이나 일반 건물 옥상 등에 태양광 발전을 설치하는 데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한국전력과 전력거래소는 생산원가가 비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용과 전기요금의 차이를 예산으로 보전해 주는 발전 차액 지원사업을 실시한다.

정유섭 의원에 따르면 정부는 또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REC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대규모 발전회사는 의무적으로 신재생에너지로 일정 비율을 발전해야 하는데, 이 비율을 못 채우면 민간 태양광 사업자 등으로부터 REC를 구매하도록 하는 제도다.

이에 대해 정 의원은 “문제는 앞으로다. 정부는 탈원전 정책의 일환으로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까지 늘리겠다는 ‘재생에너지 3020 계획’을 추진 중”이라며 “이 때문에 전국의 산과 들에 태양광 발전소 등이 우후죽순 들어서는 등 신재생 발전이 급증하고 있다. 보조금도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실제 에너지공단이 가정이나 건물 옥상 태양광 발전 등에 지급한 보조금은 2017년 974억원이었지만, 지난해 그 두 배가 넘는 2060억원에 달했다. 정 의원은 “정부 보조금은 고스란히 국민 부담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보조금이 늘면 한전 적자가 늘고, 이는 결국 전기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보조금이 급증하고 있는 데 반해 원전 관련 예산은 해마다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부에 따르면 원전 관련 예산은 2017년 5084억원에서 2018년 4667억원으로 8.2% 줄었다. 올해는 작년보다도 8.5% 감소한 4271억원에 그친다. 원자력  핵심 기술 개발(R&D) 비용은 2017년 686억원이었지만, 작년엔 621억원으로 줄었고, 올해는 611억원으로 해마다 줄고 있다.

이에 대해 정유섭 의원은 “무리한 탈원전과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때문에 한전의 부실이 커지고 있고, 이는 결국 전기요금 인상 압박 요인이 되고 있다”며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에 쏟아붓는 보조금의 일부만이라도 원전 기술 개발에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