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항공이용객이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한 3123만명으로 집계되면서 단일 분기별 실적 중 최고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는 3분기 항공여객이 3123만명으로 국제선 여행객은 2291만명, 국내선 여행객은 832만명으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국제선 여행객은 지난해 3분기 보다 4.8% 증가했고, 국내선 여행객은 전년 대비 3.2% 늘었다.
국토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항공여객은 3057만명에서 2분기 3099만명으로 늘었고, 3분기 3123만명으로 최고를 기록했다.
국제선 여객은 계절적 요인(여름방학 및 휴가, 추석 연휴), 저비용항공사 공급석 확대(12.5%), 내‧외국인 여행객 증가 등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4.8% 성장했다.
지역별로는 중국‧아시아‧미주‧유럽‧기타 지역 노선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일본과 대양주 노선은 감소세했다. 지역별로 중국 12.2%, 아시아 13.3%, 미주 4.4%, 유럽 8% 증가했지만 일본은 수출규체 등의 여파로 14.6% 감소했다.
중국노선의 경우 496만명을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 442만명 대비 12.2% 늘었다. 중국노선의 경우 2016년 3분기 578만명을 기록한 뒤 2017년 353만명으로 줄었지만 최근 지소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노선의 경우 베트남(22.5%)‧필리핀(35.6%)‧대만(20%) 노선의 운항증편 영향으로 국제여객이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했다.
공항별로는 노선 다변화 및 중국여객 증가 영향으로 무안(104.9%)‧청주(26.6%)‧제주(33.5%)‧대구(25.7%) 등 지방공항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또 인천(4.2%)과 김포(0.4%) 등 주요 공항의 국제여객도 증가했다.
항공사별로는 우리 대형항공사는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했으나,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 전체 여객 대비 우리 항공사 점유율은 66.1%였고 이중 LCC 점유율은 전년 28.9%에서 올해 3분기 28.8%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선 여객은 공급석 증가, 외국인의 제주여행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제주 2%↑, 내륙 11.1%↑) 증가한 832만명을 기록했다.
공항별로는 제주(1.9%)‧김포(3.7%)‧김해(3%)‧청주(20%)‧여수(10.8%)공항 등이 증가했고, 울산(-2.5%)‧인천(-2.5%)‧광주(-1%)공항은 감소했다.
항공사별로는 국내 대형항공사가 355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고,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477만명을 운송했다. LCC의 국내여객 점유율은 지난 2015년 3분기 55.2%에서 2016년 57.4%, 2017년 56.1%, 지난해 58.5%를 기록하는 등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3분기 항공화물(106만톤)은 미중 무역마찰 등 대외여건 악화와 일본‧중국‧미주 등 전 지역의 물동량 감소(반도체,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등) 영향 등으로 5.1% 감소했다. 국제화물은 일본(-19.2%)‧중국(-1.3%)‧미주(-7%) 등 전 지역에서 감소세를 나타내 전년 동기 대비 5.1% 감소(100만 톤)했다.
국내화물은 내륙노선(-2.7%)과 제주(-6%)노선 모두 감소하여 전년 동기 대비 5.6% 감소한 6.6만톤을 기록했다.
국토교통부 어명소 항공정책관은 “지난 7월과 8월에 연이어 역대 월별 최고 실적을 경신하고, 3분기 역시 분기별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으나 2019년 9월 실적이 2017년 7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0.3%)를 보였다”며 “노선 다변화(동남아, 중국 등) 및 인바운드 관광 유치 등을 지원하고 시장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는 등 항공운송산업의 지속성장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