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7년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경영적자를 기록하며 재무구조가 악화된 현대로템이 임원과 조직을 줄이고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등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한다.
현대로템은 15일 창원공장에서 전사 임원, 각 주요부서 팀장 및 직원 등 300여명의 임직원들이 모인 가운데 경영쇄신을 위한 비상경영 선포식을 열러 경영정상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비상경영체제를 통해 리스크 관리 강화와 수익 확보를 중심으로 한 내실경영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이용배 사장은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를 선행관리 위주의 선순환 구조로 변화시켜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 수익성 중심으로 회사를 운영하는 등 강도 높은 내실경영을 추진해 지속경영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이날 선포식을 기점으로 재무구조 개선은 물론 경영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자구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한다는 방침이다. 지속적인 재무구조 악화로 인한 신용등급 하락으로 현대로템은 경영정상화를 위한 자구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현대로템은 ▲경영진에 대한 신뢰구축 ▲구성원 의식개혁 ▲조직역량 결집을 통한 경영정상화 목표 달성의 선순환 구조를 안착 시키겠다는 각오로 본격적인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구체적으로 회사 측은 대표이사를 포함한 비상경영위원회를 구성한다. 위원회는 수익성 개선, 운휴자산 매각, 조직문화 개선, 사업역량강화 등 각 분야별로 비상대책을 수립하고 상시 점검을 통해 본격적인 조직 체질 개선에 나선다. 또한 조직 통폐합, 인력 조정, 비용 절감 등 다양한 자구 노력도 함께 진행키로 했다.
앞서 현대로템 측은 경영정상화의 첫걸음으로 조직 슬림화를 위해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기존 38개의 실을 28개의 실로 축소 개편하고 임원 수도 기존 대비 20%를 줄여 조직의 운영 효율성을 높였다.
기존 수익이 나지 않던 사업부문 정리 등의 경영상황 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책임매니저 이상 관리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유휴인력을 조정해 인력 효율화를 추진한다.
이와 함게 고강도 사업관리, 경영 효율화, 불필요한 행사 축소 등 긴축운영을 통해 비용절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수익성 확보, 지속경영 기반 구축, 헌신과 협업을 통한 수익 중심의 내실 경영’의 2020년 경영방침을 전 직원에게 배포해 수익성 중심의 경영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국내외 경기침체로 인해 지난 몇 년간 회사 실적이 악화되면서 고강도 자구계획을 추진하게 됐다”며 “이날 선포식은 경영위기에 봉착한 회사의 재도약을 위한 첫 걸음으로 향후 각 사업부문별 경쟁력 강화 방안 등 보다 구체적인 고강도 자구책을 계획해 실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로템은 비상경영 선포식 이후 임직원들에게 회사의 경영 성과 및 전망, 주요 사업 진행방향 등을 설명하는 전사 경영설명회를 열어 현 위기 상황을 공유하고 구성원 간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