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불이나 전기의 발견보다 인류 문명에 큰 영향력을 줄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22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콘퍼런스에서 알파벳‧구글 최고경영자인 순다르 피차이 CEO가 이같이 말했다고 블룸버그와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이날 콘퍼런스에서 피차이 CEO는 “인공지능은 우리 인류가 작업하고 있는 가장 영향력이 큰 것들 중 하나다. 그것은 불이나 전기보다 더 영향력이 심대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인공지능은 기후와 다르지 않다. 한 국가 또는 몇 개 국가들만 노력해서는 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 전 세계적인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와 관련 미국과 유럽의 인공지능 규제를 위한 프레임워크에 대해 “훌륭한 출발점”이라고 평가했다. 피차이 CEO는 인공지능이 책임감 있게 개발되려면 많은 나라가 파리기후변화협정과 유사한 국제적 합의를 바탕으로 함께 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얼굴 인식 같은 기술은 실종자를 찾는 등 좋은 일에 쓰일 수 있지만 대중 감시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고 지적하고, 헬스케어 분야가 향후 5∼10년간 인공지능을 이용해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큰 잠재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구글과 의료업체 어센션의 헬스케어 분야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으로 개인 건강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피차이 CEO는 “하지만 잠재력을 보라”로 답을 제시했다.
그는 “암은 종종 놓치기도 하는데 그에 따른 결과의 차이는 매우 크다. 예를 들어 폐암에서 5명의 전문가는 이런 방식에 동의하고 다른 5명은 다른 방식에 동의할 수 있다. 우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에도 주의를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