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르노삼성 관계자는 쿠키뉴스와의 통화에서 "해당 업체는 공식 서비스센터가 아닌 정비 협력업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르노삼성에 따르면 엔진 오일 누유로 수리를 맡긴 고객 차량의 시운전이 필요한 상황이었고 구두로 고객에게 "시운전이 필요하다"라고 확인했다는게 업체 주장이다. 그러나 고객 측은 이같은 설명을 들은 적 없다고 주장한다.
르노삼성 관계자는 "그러나 내부 지침에 따르면 시운전이 필요할 때에는 반드시 사전에 고객으로부터 문서(서면)로 확인을 받도록 돼 있는데 지켜지지 않았다"고 인정했다.
또 50km 이상 시운전이 과연 적절했는가, 고객의 하이패스 카드를 사용한 것 등과 관련 논란에 대해서는 "세세한 부분은 아직 확인이 더 필요하다"고 말을 아꼈다.
다만 "엔진 수리가 잘 됐는지 판단할 때 '몇 km 시운전'으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면서 "수리한 내역, 필요한 조치에 따라 고속이나 장거리를 테스트를 확인해봐야 확인이 되는 경우도 있고 간단한 주행으로도 확인되는 경우가 있다보니 정황만 가지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추가적으로 확인해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정비 협력업체들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하겠다"며 "논란이 된 업체는 추가적인 내용을 확인해 문제가 확인되면 엄중 조치를 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해결을 위해 해당 업체가 고객과 사후조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논란은 전날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공식 서비스 센터 직원이 무단으로 내 차로 출퇴근한다면?'이란 제목의 글이 올라오면서 시작됐다.
수리를 맡긴 고객의 자녀라고 밝힌 A씨에 따르면 그의 어머니는 엔진 오일 누유로 수리를 맡겼고 이틀이 지난 후 차량을 돌려받았다. 그런데 차를 맡기기 전 잔여 기름이 줄었고 주행거리는 50km 이상 늘어났다는 게 A씨의 주장이다.
A씨는 해당 직원이 무단으로 A씨 어머니 차량을 운행한 것으로 보인다며 블랙박스 영상을 함께 올렸다. 영상에는 직원으로 추정되는 운전자가 A씨 어머니의 차량으로 서울 서초구에서 경기 부천시까지 왕복 운행을 하고 고객의 하이패스 카드로 요금소를 지나는 모습도 찍혔다.
A씨는 "(직원의 시운전과 관련해) 어떠한 안내도 받지 못했다" 차량 점검 후 주가 점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주행을 했다고 하기엔 거리가 비상식적으로 멀다. 지극히 개인적인 목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느껴진다"고 주장했다.
또 "블랙박스에 녹화된 영상 소리를 들어보니 이 직원이 친구와의 통화에서 '오늘도 시운전차 타고 가거든'이라는 말을 한다"며 이같은 무단 운행이 이번이 처음이 아닐수도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다행히) 사고는 나지 않았지만 이처럼 무단으로 차량을 운행하다가 인사사고라도 발생하면 사고를 당한 피해자는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런 사연이 온라인을 통해 확산되면서 논란이 커지자 A씨는 1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해당 서비스센터와 통화했다는 내용의 글을 게재했다.
A씨는 "지점 대표가 통화에서 '처음에 안내를 제대로 못 해 드린 건 정말 죄송하다. 인정한다'라고 솔직하게 말했다"고 "차량 점검을 목적으로 시운전했다면 시운전한 명세서 또는 사후 검사표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운전 한 직원과 지점 대표로부터 '없다'는 말을 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르노삼성은 서비스센터 지점에 고객의 차량에 대한 정비점검 역할을 위임했지만 기본 관리 감독의 책임이 있다고 생각된다"며 "특정 지점 또는 개인의 잘못이기 이전에 르노삼성 브랜드를 믿고 지정 센터를 찾은 고객에게 책임을 다할 의무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jihye@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