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 호우철을 앞두고 정부가 영남권 산불 재난폐기물 95% 이상을 신속히 처리했다.
환경부는 지난 3월 울산·경북·경남 지역 산불로 발생한 재난폐기물 74만3000톤 중, 6월 말 기준 95.6%에 해당하는 71만1000톤을 처리했다고 밝혔다.
지역별로 처리율은 △울산광역시(울주) 100%(800톤), △경상북도(안동·영덕·영양·의성·청송) 95%(70만4000톤), △경상남도(산청·하동) 100%(6000톤)로 나타났다.
발생 유형별로는 전소되거나 반소된 주택·상가·농업용창고 등 주민 생활·생계시설의 철거 과정에서 발생한 재난폐기물 약 70만8000톤 중 96%인 68만톤이, 산불 피해 공장(65개 사)에서 발생한 3만5000톤 중 88.1%인 3만1000톤이 처리 완료됐다.
이번 재난폐기물 처리는 지난 5월2일 중앙재난합동대책본부에서 산불 복구계획이 확정된 지 두 달 만에 이뤄진 신속한 조치다. 그동안 환경부와 지자체는 피해주민들의 조속한 일상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국비지원 등 행정절차와 현장조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했다.
환경부는 우선 추경예산 1120억원을 포함한 국비 1420억원을 피해 지자체에 신속하게 교부했다. 재난폐기물 처리 지연의 주요 원인인 지자체의 위탁용역 계약체결 현황을 집중관리해 신속한 계약체결을 이끌었다. 또 환경부 소속 유역(지방)환경청과 경상북도는 산불 폐기물 수집·운반·처리 현장을 매주 점검하고, 처리실적을 관리하여 처리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대응했다.
환경부와 지자체는 아직 철거되지 않은 산불 피해 주택과 소규모 공장의 잔여 재난폐기물 3만여 톤(전체의 약 5%)도 철거가 완료되는 대로 곧바로 처리할 계획이다.
환경부와 지자체는 올여름 장마와 태풍 등 풍수해에 대비해 수해 복구대응 초기 단계에서부터 재난폐기물 발생량 조사를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수해 재난폐기물 산정 및 관리 지침서(가이드라인)’를 마련했다. 이를 전국 지자체와 재난 관련 기관에 배포하고 지난달 27일 지자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마쳤다.
이밖에 전국 지자체에서는 수해가 발생할 경우 침수 가옥에서 전자제품, 집기류 등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도록 총 1300곳(612만톤 적환 가능)의 적환장 예비부지를 확보하고 있다.
환경부 김고응 자원순환국장은 “이번 산불 피해지역의 신속한 일상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재난폐기물 관리와 처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면서 “여름철 수해 폐기물에 대해서도 처리 지연 및 2차 환경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세종=김태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