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한 일회성 지원을 넘어, 개인의 생애주기에 따라 섬세하게 설계된 정책들이 하나씩 뿌리내리며 청년이 원하는 대로 하동, 낳기만 하면 키워주는 하동이라는 도시브랜드를 만들어가고 있다.
군은 청년, 결혼 후 혼인신고 여부, 자녀 출생아 수에 따라 연간 최대 청년 1인 가구 270만원, 결혼 후 혼인신고는 하지 않고 주소가 동일한 경우 270만원, 결혼 후 혼인신고 한 경우 530만원, 세대당 자녀 1명 출산 시 2120만원, 자녀 2명 4190만원, 자녀 3명 4310만원을 지원한다.
청년 1인 가구와 비교했을 때 자녀 3명 가구의 지원금은 약 16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와 같은 지원 정책은 결혼과 출산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하동군은 군민들이 겪는 임신·출산의 경제적 부담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파격적인 현금 지원 정책을 추진 중이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첫만남이용권, 부모 급여, 아동수당과 더불어 하동군 자체적으로 출산장려금, 둘째아 이상 영유아 양육수당 등을 추가로 지원한다.
특히, 출산장려금은 경남 최고 수준의 지원 규모를 자랑한다. 첫째아는 24개월 동안 440만원, 둘째아는 60개월 동안 1100만원, 셋째아는 60개월 동안 1700만원, 넷째아 이상은 같은 기간 동안 3000만원이 매월 분할 지급된다.
여기에 더해 다자녀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둘째아 이상 영유아 양육 수당도 지급한다. 지난 2023년 2월 13일 이후 출생한 둘째아부터는 매월 10만원씩, 72개월간 양육 수당도 지원받을 수 있다.
하동군의 이 같은 정책은 청년과 가정이 지역에 뿌리내리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앞으로도 하동군이 지속 가능한 인구정책의 모범이자, 살고 싶은 지역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하동=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