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택조합 3곳 중 1곳 분쟁…국토부, 8월까지 실태 전수점검

지역주택조합 3곳 중 1곳 분쟁…국토부, 8월까지 실태 전수점검

기사승인 2025-07-08 09:39:38
쿠키뉴스DB

#1. 00지역주택조합 A조합장은 가입비 등을 지정된 신탁계좌가 아닌 금융기관 계좌로 납입받아 업무상 횡령·배임 등으로 경찰에 고발당했다.

#2. 00지역주택조합은 00구로부터 일부 조합원의 자격 부적격 통보를 받고도 해당 조합원에게 알리지 않고 계속 분담금을 받아오다, 조합원이 이를 인지하고 분담금 반환을 요구하였음에도 조합 측은 이를 계속 거부했다.

국토교통부가 6월 20일부터 7월 4일까지 지역주택조합 사업에 대한 분쟁 현황을 전수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618개 지역주택조합 중  187개 조합(30.2%)에서 293건의 민원 등 분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주택조합 제도는 주택수요자가 스스로 공동주택을 건설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토지확보의 어려움과 추가분담금 문제 등으로 인한 조합원 피해와 낮은 성공률 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전체 618개 조합 중 설립인가를 받지 못하고 모집단계에 있는 조합이 316개(51.1%), 모집신고 후 3년 이상 조합설립인가를 받지 못한 조합이 208곳(33.6%)에 달한다.

특히 최근 사업추진과정에서 조합과 조합원 간 분쟁, 조합과 시공사 간 분쟁과 조합원 피해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지자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전체 지역주택조합 현장에 대해 분쟁현황을 조사했다.

분쟁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사업초기단계인 조합원모집·조합설립인가 단계에서는 부실한 조합운영(52건), 탈퇴·환불 지연(50건) 순으로 많았다. 사업이 본격 추진되는 사업계획승인 이후로는 탈퇴·환불 지연(13건), 공사비(11건) 등과 관련한 분쟁이 많이 발생했다.

사업단계별로는 분쟁이 발생한 187개 조합 중 조합원 모집단계인 조합이 103개, 설립인가된 조합과 사업계획승인 이후 조합이 각각 42개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국토부는 사업초기 불투명한 정보와 토지확보 및 인허가 지연 등에 따른 문제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진단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경우 전체 110개 조합중 63개 조합에서 발생했다. 이어 경기(32개), 광주(23개) 등 지역주택조합 사업이 활발한 지역에서 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618개 모든 지역주택조합 사업에 대해 지자체를 통해 8월말까지 전수 실태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주요 분쟁사업장에 대해선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특별점검을 실시해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중재·조정도 지원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현황조사와 실태점검 등을 통해 제도 및 운영상의 문제점을 면밀히 파악할 예정이다. 조사결과 등을 토대로 지역주택조합 사업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분쟁과 갈등을 예방하기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한다. 

세종=김태구 기자
김태구 기자
ktae9@kukinews.com
김태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