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국내 자살률이 인구 10만명당 28.3명으로 전년보다 더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보건복지부는 9일 이형훈 제2차관 주재로 시·도 부단체장과 자살률 현황과 대책을 공유하고 자살 예방을 위해 협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지난해 자살 사망자 수는 1만4439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1만3978명이었던 2023년보다 증가했다. 자살률은 인구 10만명 당 28.3명으로 2023년(27.3명) 대비 늘어 2003년부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자살을 막으려면 위기 요소에 대한 선제적 예방과 위기에 처한 이들을 신속히 찾아 지원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지역사회의 고위험군 발굴과 위기 개입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역할, 또 이를 뒷받침하는 중앙 정부의 강력한 지원이 중요하다. 복지부는 2025년도 제2차 추가경정 예산에 자살예방 사업 지원을 위한 예산 약 25억5000만원을 추가 편성했다. 편성된 주요 예산은 △응급실 내원 자살 시도자 치료비 지원 확대 5억1000만원 △지역 맞춤형 자살예방 사업 지원 4억원 △자살유발 정보 모니터링 인력 확충과 인식 개선 캠페인 확대 12억1000만원 △고립·은둔 청년 일대일 온라인 상담 서비스 신규 도입 4억3000만원 등이다.
지역 맞춤형 자살예방 사업 예산은 주민 스스로 주변의 자살 위험에 처한 이들을 발굴해 신속하게 자살예방센터에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생명지킴이 활동’ 활성화에 쓰일 예정이다. 복지부는 향후 지역별 자살 현황을 분기별로 살펴보고 점검 회의 등을 통해 관리를 더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현재 시행 중인 자살 급증 지역의 현장 컨설팅도 확대해 지역이 더 효과적인 자살예방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형훈 제2차관은 “중앙 정부와 지자체의 모든 공직자들이 가장 어려운 국민 개개인이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다짐으로 서로 협력해야 더 많은 생명을 살리고 따뜻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자살 예방을 위한 재정적·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고, 필요한 정책 개선에 대해서도 경청해 최대한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