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를 선언한 가운데 의과대학 총장들은 복귀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40개 의대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오는 17일 온라인 줌 회의 형태로 회의를 열 예정이다.
지난 12일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비상대책위원장이 의대생 복귀를 선언한 이후 의대 총장들이 모여 회의를 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의총협 회의에선 의대생 복귀 방안에 대해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의대생들이 복귀 의사를 밝혔지만 수업과 실습 등 학사 일정, 기존 복귀생들과의 교육 과정 등 해결할 과제가 남아있다.
지난 5월 기준 전국 40개 의대 재학생 1만9475명 중 유급 대상자는 8350명(42.8%)으로 집계됐다. 제적 대상자는 46명이다. 대부분 의대는 1년 단위의 ‘학년제’로 운영돼 1학기에 2학기 수업을 들을 수 없다. 원칙적으로 유급되면 내년 3월에나 복학할 수 있다. 예과생은 여름 계절학기로 부족한 수업을 벌충하는 방안이 있지만, 본과생은 1년에 최소 40주가량의 수업을 들어야 한다. 본과 4학년의 경우 복귀해도 9월 의사 국가고시 응시 일정을 맞추기 어렵고, 의사 국시를 보는 데 필요한 ‘병원 임상실습’도 이수하지 않은 상태다.
결국 유급 대상자가 수업에 복귀하려면 대학과 정부가 학사 유연화 같은 특례를 열어줘야 한다. 의대협은 정부에 “학사 일정 정상화를 통해 의대생들이 교육에 복귀할 수 있게 종합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지금까지 이수하지 못한 수업을 보충해 내년에 정상적으로 다음 학년에 진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달라는 것이다.
정부는 의대생 복귀 방안을 고심 중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15일 국무회의에서 “의대생들이 다행스럽게 학업에 복귀하기로 했다고 한다”라며 “교육 당국이 필요한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추진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각 대학과 함께 복귀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12일 입장문을 통해 “시기, 방법 등을 포함한 복귀 방안은 대학 학사 일정과 교육 여건, 의대 교육 과정의 특성을 고려해 대학 및 관계 부처와 충분히 논의하고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