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60% 중반을 기록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보수층·TK 등 전통적 비우호층에서도 절반 이상이 긍정 평가를 내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뉴스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가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8명을 대상으로 이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을 조사한 결과 긍정평가는 64.2%로 나타났다. 이는 ‘아주 잘하고 있다’ 53.6%와 ‘다소 잘하고 있다’ 10.6%를 합한 수치다.부정 평가는 31.6%(‘다소 잘못하고 있다’ 24.6%·‘아주 잘못하고 있다’ 7.0%)였으며, ‘잘 모르겠다’는 4.2%였다.
지역별로 보수정당에 전통적으로 우호적이었던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부울경) 지역에서 모두 긍정평가가 절반을 넘었다. 대구·경북 53.4%, 부산·울산·경남 60.8%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서울(67.2%)과 인천·경기(64.1%)에서도 60%대를 기록했고, 호남권은 75.7%로 가장 높았다.
정치 성향별로는 진보층 80.1%, 중도층 63.6%가 긍정 평가했다. 보수층에서도 52.2%가 긍정적으로 평가해 절반을 넘어섰다.
연령별 긍정 평가는 50대 75.0%로 가장 높았고, 40대 70.4%, 60대 64.0% 순이었다. 18~29세(57.5%)와 70대 이상(54.7%)에서도 과반이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같은 대상에게 이 대통령의 향후 국정수행 전망을 조사한 결과, ‘앞으로 국정 수행을 잘할 것’이라는 전망은 64.5%로 현재 지지율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부정 전망은 32.1%였다.
지역별로는 호남권에서 긍정적으로 전망한 응답율이 7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서울 67.2%, 인천·경기 63.9%, 부산·울산·경남 62.3%, 충청권 61.5%, 대구·경북 53.3% 순이었다.
정치 성향별로는 보수층에서 ‘앞으로 국정 수행을 잘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전망한 응답율이 52.8%로 절반을 넘었다. 중도층에서는 63.3%, 진보층 80.4%였다.
이번 설문조사는 구조화한 설문지를 이용한 유선 전화면접(6.0%), 무선 ARS(94.0%)를 병행해 진행됐다. 응답률은 2.2%,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 3.1%p다. 표본 추출은 유무선 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 방식이며 통계보정은 2025년 5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값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한길리서치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