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ech Pass, 반도체·수도권·대기업 ‘쏠림’ 심각…특정 기업에 96% 발급

K-Tech Pass, 반도체·수도권·대기업 ‘쏠림’ 심각…특정 기업에 96% 발급

비수도권·디스플레이·로봇 분야는 ‘0건’…허성무 의원 “제도 개선 촉구할 것”

기사승인 2025-10-16 09:52:32 업데이트 2025-10-16 09:52:55
K-Tech Pass 발급 현황. 허성무 더불어민주당 의원 제공


정부가 해외 첨단 인재 유치를 위해 도입한 ‘K-Tech Pass’ 제도가 특정 기업과 산업, 지역에 편중된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발급된 24건 가운데 23건(95.8%)이 한 대기업(S사)에 몰렸고, 비수도권 기업에는 단 한 건도 발급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허성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6일 열리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 같은 사실을 지적하고, 정부에 제도 개선을 촉구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첨단산업 인재혁신 특별법’ 제정·시행에 따라 법무부와 협의해 첨단 분야 우수 인재 지원 프로그램인 ‘K-Tech Pass’를 신설했다. 코트라가 주관하는 이 제도는 외국인 연구 인력이 △입국 즉시 거주비자(F-2) 발급 △2주 내 온라인 신속처리 △소득세 감면 △가정부 동반비자 허용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발급 현황을 보면 올해 전체 24건 중 23건이 S사에 집중돼 사실상 독점 상태다. 지역별로는 24건 모두 수도권(경기·인천) 기업에 발급됐고, 비수도권 발급 사례는 전무하다. 산업별로는 반도체 분야가 20건(83%)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디스플레이·방위산업·로봇·첨단모빌리티 분야는 한 건도 없었다.

정부는 2026년 예산안에서 2030년까지 해외 인재 1000명을 유치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올해 5월 대량 발급 이후 사업이 사실상 멈춰 현재까지 24건에 그치고 있다.

허 의원은 “K-Tech Pass가 수도권·대기업 중심으로 운영되면 정책 취지가 훼손된다”며 “전국의 첨단전략산업 기업이 고르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혜민 기자
hyem@kukinews.com
이혜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