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가 글로벌 산업 패러다임 변화 속 AI·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혁신을 이끄는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산업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대내외 리스크가 상존하는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 실물경제 주무 부처인 산업부 장관으로 내정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금 우리 산업은 근본적인 패러다임 변화의 한복판에 서 있다”며 “미 관세 조치,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으로 우리 수출을 견인하던 자유무역과 국제규범이 더 이상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반면, 중국의 높은 가격 경쟁력과 빠른 기술 추격으로 우리 수출시장에서의 경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혁명을 지나, AI혁명과 에너지혁명의 twin 혁명으로 인해 우리 산업 전반에 근본적인 혁신이 요구되는 상황”이라며 “산업부는 산업-통상-에너지 정책 간 유기적 연계를 토대로 우리 기업이 세계시장에서 경쟁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선도적인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가장 먼저, 모든 역량을 결집해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공언했다.
김 후보자는 “미 관세 조치 등에 대해선 국익 극대화를 전제로 실용적인 통상정책을 전개하고, 통상협정, APEC 정상회의 등을 통해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해 우리 기업의 글로벌 활동 무대를 넓히겠다”며 “새로운 수출시장과 품목을 개척하고 금융, 마케팅 등 수출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는 등 무역구조를 종합적으로 혁신해 수출 1조불 시대를 준비하겠다”고 설명했다.
AI와 에너지 혁명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산업 현장에 AI를 대대적으로 접목・활용함으로써 산업 생산성과 부가가치를 근본적으로 높이고, 중견・중소기업까지 폭넓게 확산시키겠다”며 “또, 탄소중립 달성이라는 도전과제를 성장의 기회로 삼아 신산업을 창출하고, 기업 경쟁력을 새롭게 높이는 성장 지형형 그린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반도체・미래차 등 핵심 산업에서 글로벌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국내 투자・기술을 확충해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며 “석유화학・철강 등 공급과잉 산업은 신속한 사업 재편과 고부가 제품 전환을 통해 재도약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친환경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안보 확보 및 탄소중립 실현도 언급했다. 그는 앞서 국회에 제출한 서면질의 답변서를 통해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원전도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며 ‘에너지 믹스’를 강조한 바 있다.
김 후보자는 “입지, 전력망, 시장 제도 등을 개선해 재생에너지를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그 과정에서 국내 산업 경쟁력이 강화되도록 하겠다”면서 “에너지 가격 안정화, 탄소중립 달성, 글로벌 수출 등 산업 측면에서 중요성이 높은 원전도 안전성과 수용성을 바탕으로 착실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에너지 고속도로 등 전력 인프라와 시스템을 혁신해 전력시장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지역 간 전력 불균형도 해소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지역경제 생태계를 복원해 지역에도 공정한 성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5극 3특 초광역권 산업을 육성해 다극적 지역균형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겠다”며 “RE100산단 조성, 과감한 규제 혁신과 인센티브 등을 통해 기업의 지방 투자를 촉진하고, 부처 협력으로 교육·의료 등 정주 여건을 확충해 지역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에 실질적 성과를 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