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지주가 최근 인수한 동양생명과 ABL생명의 건전성 개선 의지를 피력했다. 다만 유상증자와 합병, 구조조정 등에는 선을 그었다. 우리금융이 건전성을 확보할 방안에 이목이 쏠린다.
2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우리금융지주는 동양생명과 ABL생명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경영 진단을 2~3개월 내로 마무리할 예정이다. 우리금융은 진단 결과에 따라 지급여력비율을 기준으로 자본력을 확충하는 등 체질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150% 넘겼는데…문제는 경과조치‧기본자본
경영 진단의 핵심 지표는 지급여력비율이다. 이성욱 우리금융지주 부사장(CFO)은 지난 25일 열린 우리금융 컨퍼런스콜에서 “향후 경영 진단이나 중장기 계획 수립에 가장 근본적인 부분은 킥스비율 관리”라고 강조했다.
동양생명의 지급여력비율은 올해 1분기 기준 127.2%로 금융당국 권고치인 150%를 밑돌았다. 이에 동양생명은 지난 4월 말 약 4300억원대의 후순위채권을 발행해 자본 확충에 나섰다. 동양생명 관계자는 “후순위채 발행으로 지급여력비율 예상치가 최소 150%는 넘길 것”이라고 설명했다.
ABL생명의 지급여력비율은 올해 1분기 기준 150%를 초과했다. 다만 이는 경과조치를 적용한 효과가 크다. 경과조치를 적용하면 가용자본 감소를 일정 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일시적으로 지급여력비율이 높아진다.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도 주요 평가지표다. 기본자본이란 후순위채 등 보완자본을 빼고 보통주와 이익잉여금 등만 포함하는 자본을 말한다. 금융당국은 전체 자본뿐 아니라 기본자본의 건전성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규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동양생명의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은 올해 3월 말 기준 57.4%로 지난해 말 79.8%에서 20%포인트(p) 이상 급감했다. 경과조치를 적용한 ABL생명의 경우엔 98.6%로 지난해 말보다 약 15%p 올랐다. 경과조치를 적용하지 않으면 ABL생명의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은 70%대로 내려간다.
업계에서는 기본자본 규제 비율이 캐나다나 유럽처럼 50~70% 수준으로 산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금융 “유상증자 없다”…남은 방안은
기본자본 비율을 높이려면 유상증자를 하거나 요구자본을 축소해야 한다. 그러나 이성욱 부사장은 같은 컨퍼런스콜에서 “현재 상태에서는 추가적인 증자는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선을 그었다.
동양생명과 ABL생명의 합병이나 구조조정은 아직까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 부사장은 “완전 자회사나 합병 관련해서는 현재 그룹 내에서 구체적인 검토라든가 결정된 바가 없다”고 말했다. 동양생명 관계자도 “합병 관해 논의되고 있는 바가 없는 것으로 안다”면서 “구조조정 관련해서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최근 DB손해보험이 기본자본 확충을 위한 조건부자본증권(코코본드) 발행에 착수한 만큼, 동양생명도 이러한 방법을 검토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후순위채는 보완자본으로 분류되지만, 코코본드는 기본자본으로 인정된다.
금융당국은 기본자본 규제 시점을 고심하고 있다. 앞서 협회 등 관계자가 참석한 건전성 관리체계 고도화 태스크포스(TF)의 첫 회의는 지난달 30일 개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