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해양진흥공사는 북극항로 구축을 위한 금융지원 정책으로서 북극항로 관련 기금 신설을 제안했다.
해진공은 지난 25일 국회에서 열린 '북극항로 개척방안 및 선결과제 점검 토론회'에서 북극항로 상업 운항을 위한 금융·정보 기반 마련 방안을 제시하고 민관 협력을 통한 단계적 실행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에서 해진공은 북극항로를 위한 금융지원 정책으로 기금 신설 방안을 제안하고 신설된 기금을 통해 쇄빙선·내빙선 도입 지원을 위한 선박금융, 극지항로에 필요한 시범 운항비와 참여기업 인센티브 제공, 해외 거점항만 확보와 연료공급인프라투자 등 재원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정보지원 정책으로 항로 안전 정보와 운항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제공할 북극항로 운항 지원 종합 센터를 설치해 국내외 해운 기업들이 북극항로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종합정보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해진공은 향후 관계 부처와 민간 전문가와 협의체를 구성하고 법·제도 개선을 포함한 실행 로드맵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토론회에는 국내 주요 해운기업과 학계, 정책 관계자 등100여 명이 참석해 북극항로 개척의 필요성과 실행 방안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팬오션, HMM, 폴라리스쉬핑 등 주요 선사들은 북극 운항을 위한 전용 선박 확보, 해빙 예측과 안전 운항정보제공, 연료공급 인프라 구축 등 기반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초기 시범운항에 대한 정부 재정 지원과 선박 금융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북극항로 운항과 연계한 국내 항만과 물류거점 간의 기능 분담과 협력 강화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부산은 환적과 스마트 물류의 중심지로, 울산은 친환경 연료 공급 기지로, 포항은 자원물류와 연구개발 거점으로서 각각의 특화 기능을 바탕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들이 나왔다. 항만 간 물류 정보 연계와 통합 운영체계 구축 필요성도 함께 제기됐다.
해진공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수렴된 의견과 업계 수요를 반영해 북극항로 금융·정보 지원체계의 구체화와 법제화, 협력 체계 구축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해운업계의 참여 유인을 높이기 위해 정책 금융 도입 방식의 유연성을 확대하고 민간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안병길 해진공 사장은 "북극항로 개척은 단순한 항로 확보를넘어국가 해운산업의 전략적 도약 기회"라며 "금융, 정보, 네트워크 역량을 총동원해 북극항로 시대를 실현할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의 허브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