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한필의 視線] 천안! 시의회 의장이 관심 끌 때냐

[조한필의 視線] 천안! 시의회 의장이 관심 끌 때냐

기사승인 2025-07-29 19:13:12 업데이트 2025-07-29 19:39:09
천안시의회 김행금 의장이 천안 언론의 주공격 대상이 돼 연일 집중 포화를 받고 있다.  사진=조한필 기자

천안시민 중 시의회 의장 이름을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각종 공식 행사에서 시장 다음으로 귀한 대접을 받는 게 의장이지만 시민에게 그만큼 존재감이 있지는 않다. 시장은 시 전체 유권자가 뽑지만, 의장은 11개 선거구 중 한 곳에서 뽑힌 시의원일 뿐이다. 

그런데 지금 김행금 시의회 의장은 천안 최고의 ‘화제 인물’이다. 의장이 그렇게 뉴스 비중 있는 자리였던가? 잇따르는 보도에 시민은 고개를 갸웃거린다. ‘시장 자리가 공석이라 그런가?’ 생각할 수도 있지만 속사정은 그렇지 않다. 뉴스 밸류(가치) 와 다르게, 의장이 언론에 뭔가 밉보인 게 있어서다. 김 의장을 타깃으로 한 그간 보도를 살펴보자.

① 관용차 사적 이용=지난 5월 3일, 휴일임에도 김 의장은 관용차량을 이용해 고양시 킨텍스서 열린 소속 정당(국민의힘) 전당대회에 참석했다. 공무직 운전기사가 운전을 위해 동행했다. 언론은 응당 차량 부착 하이패스로 지불되었을 고속도 통행료까지 문제 삼았다.

② 시의회 인사 잡음=같은 달 시의회 직원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냈다. “의장이 내부 인사위원회 의결까지 거친 5급 승진 인사를 ‘젊어서 승진시킬 수 없다’며 결재를 미루고 있다”는 내용이다. 정말 그런 이유로 결재를 미뤘는지 모를 일이지만, 시민 입장에선 ‘황당한 의장’으로 비춰졌다.

③ 절차 무시한 국외출장=충남 시·군 의장들이 8월 유럽 출장을 가는데 천안은 다른 시·군(1명)과 달리, 직원(비서실) 2명이 동행한다. 언론이 지적하고 나섰다. 곧이어 출장의 타당성 심사 절차도 거치지 않았다는 비판이 뒤따랐다. 언론이 이렇게 의장 출장을 날카롭게 들여다 본 적은 없다.

④ 수해 속 출판기념회=김 의장은 최근 수필집을 내고, 출판기념회를 공교롭게 집중호우가 쏟아진 직후인 7월 19일 열게 됐다. 시 공무원들에게 보낸 초청장이 언론의 집중 포화를 불러왔다. “초청장은 후원금 내라는 청구서” “민심 외면, 돈만 챙기나?” 등 거친 제목이 난무했다.

⑤ 의장 현수막 논란=의장의 출판기념회 현수막으로 시 집행부에 불똥이 튀었다. “불법 현수막인데 시가 왜 과태료는 매기지 않고, 철거까지 대신 해주냐”고 언론이 비판했다. 직전 시의회 의장은 출판기념회 현수막을 왕복 8차로 넓은 번영로 육교에 내걸었다. 당시는 문제 삼지 않던 언론이 김 의장에게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댄 것이다. 시는 “도배하듯 문란한 아파트 분양현수막 등은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고 우회적으로 해명했다.
 
지난 17일 집중호우가 쏟아진 천안 불당동 한 네거리에 김행금 의장의 출판기념회 현수막이 걸려 있다.  조한필 기자

왜 이렇게 김 의장은 밉보였을까? 시의회의 차별적 홍보광고비 집행이 주된 이유다. 시의회는 시 공무원으로 구성된 사무국을 두고 있다. 의장은 이들에 대한 인사권과 업무고과권을 쥐고 있다. 이런 의장의 의중이 반영된 언론사 광고비 배분을 사무국이 ‘생각 없이’ 실행한 것이다.

시의회 광고비 내역이 인터넷매체의 정보공개 요청에 의해 드러났다. 시의회는 수년 간의 광고 관행을 뒤엎었다. 적지 않은 기존 언론사들이 광고 수주 명단에서 제외됐다. 해당 언론은 분개했다. ‘의장의 뜻’이 개입된 일로 받아들였다. 의장이 일부 천안 언론들의 공격 대상이 된 내막이다.

천안 언론들이 시의회 의장, 개인에 집중된 뉴스를 쏟아내는 게 정상적일 순 없다. 엄청난 공력(功力) 낭비다. 지적 사항이 전체 시정에 비춰볼 때 비중 큰 일이라고 볼 수 없다. 천안은 시장 공석 상태가 1년 이상 지속되는 도시다. 의장이 이렇게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때가 아니다. 

만약 시의회 사무국 공무원들이 그 직분에 충실했다면 이런 사태가 벌어졌을까. ‘관행’을 깨면 반발은 따르게 마련이다. 그걸 몰랐다면 오랜 공직생활을 허투루 한 것이다. 

아니다. 이런 사태를 예상하지 못했을 리 없다. 의장의 고과 및 인사권이 겁나 복지부동한 것이다. 정상적 승진 인사까지 막을 수 있는 의장이 무서웠던 것이다.

조한필 천안·아산 선임기자
조한필 기자
chohp11@kukinews.com
조한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