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왜곡 리박스쿨 교재, 광주교육청 소극 대응 비판

역사왜곡 리박스쿨 교재, 광주교육청 소극 대응 비판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전수조사‧폐기‧사과‧재발 방지 대책 마련’ 전남교육청과 대조
구입 및 추천사 작성 경위 철저 조사‧이정선 교육감 입장 밝히고 재발방지 대책 세울 것 촉구

기사승인 2025-08-11 11:55:44
역사 왜곡 논란을 빚고 있는 리박스쿨 교재 ‘엄마가 들려주는 이승만 건국 대통령 이야기’가 광주지역 학교에 비치된 사실이 확인됐음에도 광주교육청이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해 비판이 일고 있다. /전남도의회
역사 왜곡 논란을 빚고 있는 리박스쿨 교재 ‘엄마가 들려주는 이승만 건국 대통령 이야기’가 광주지역 학교에 비치된 사실이 확인됐음에도 광주교육청이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해 비판이 일고 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광주교육청이 역사 왜곡 도서 3권이 비치된 A초등학교를 지도·점검했으며, A초교는 지난 7일 해당 도서를 폐기 처리했다고 밝혔다.

시민모임은 A초교의 경우 도서 선정 절차를 거치지 않았으며, 특정 교사가 사업비로 역사 왜곡 도서를 구매했음에도, 광주교육청은 해당 교사가 어떤 명분으로 도서를 구입해 어떻게 활용했는지조차 파악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더욱 심각한 것은 학교명 등 근무지까지 밝힌 광주지역 중학교 교사 2명이 실명으로 역사 왜곡 도서에 추천사를 작성했음에도 광주교육청은 이들을 상대로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해당 교사들은 도서 추천 당시 각각 다른 학교에 재직 중이었으나, 현재는 같은 학교에서 나란히 부장교사, 학교운영위원 등 중책을 맡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민모임은 광주교육청을 향해 ‘리박스쿨’ 도서 구입 및 추천사 작성 경위를 철저히 조사할 것과 이정선 교육감은 즉각 이번 사태에 대해 입장을 밝히고, 재발방지 대책을 세울 것을 촉구했다.

반면 전남교육청은 이번 사건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대조를 보였다. 김대중 전남교육감은 지난 4일 순천 팔마종합운동장 내 여순항쟁탑을 찾아 참배하고, 최근 논란이 된 ‘리박스쿨 역사왜곡’ 도서의 학교 유입에 대해 깊은 사과의 뜻을 밝혔다.

전날에는 입장문을 내 해당 도서 구입 배경과 현재 상태 등을 소개하고 교육가족과 도민에게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전남교육청 등에 따르면 리박스쿨 교재는 전남 학교도서관 10곳에 18권, 전남교육청 직속기관 도서관 8곳, 전남도립도서관에도 비치됐다.

김대중 전남교육감이 4일 순천 팔마종합운동장 내 여순항쟁탑을 찾아 참배하고, 최근 논란이 된 ‘리박스쿨 역사왜곡’ 도서의 학교 유입에 대해 깊은 사과의 뜻을 밝혔다. /전남교육청
김대중 교육감은 지난 3일 입장문을 내고 “제주 4‧3과 여‧순사건의 진실이 아직도 밝혀지지 않았고, 피해자와 유가족들은 고통 속에서 지내고 있는 상황에서, ‘리박스쿨’도서와 관련해 교육가족과 도민 여러분께 우려를 안겨드려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이어 “전남교육청은 이번 일을 계기로 나쁜 역사의 흔적이 교실로 스며들지 않도록 도서 심의 기능을 강화하겠으며, 역사 날조 행위를 철저히 배격하고 차단하겠다”고 약속했다.

최소한 역사 관련 도서만큼은 외부 위원들이 함께 심사해 왜곡된 역사가 교실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철저하게 점검하겠다는 것이다.

또 2020년 발간 당시 전남 교사 4명이 추천사를 작성했으며, 이 중 1명은 퇴직했으나 1명은 교사로 재직 중이고, 1명은 명예퇴직 후 기간제 교사로, 1명은 방과후 강사로 교육 현장에서 활동 중이다.

전남교육청은 추천사 작성 경위와 이념 편향 교육은 하지 않았는지, 대외적으로 위법행위는 없었는지, 도서 구입 과정에 대한 조사 등 과하다 싶을 정도로 꼼꼼하게 조사 한다는 방침이다.

‘엄마가 들려주는 이승만 건국 대통령 이야기’는 건국절을 주장하고, 여순사건을 반란으로 규정하면서 이를 진압한 군경의 행위를 ‘암세포를 제거하는 것’에 비유하는 등 왜곡된 역사관을 담고 있다. 

최근 극우 성향 역사관으로 논란이 된 ‘리박스쿨’의 늘봄강사 교육 교재로도 활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신영삼 기자
news032@kukinews.com
신영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