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3일 본원 국제회의실에서 ‘국가공공분야 소버린 AI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산하 23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과 함께 공공분야 중심의 소버린 AI 특화모델 개발 방향을 공유하고, 협업 기반의 실질적 R&D 추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국가공공분야의 소버린 AI 개발 방향에 대한 출연연 간 필요성을 공유하고, 출연연 도메인별 특화 AI 개발 전략 강점을 모색한다.
아울러 AI 자립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도 논의하는 등 외산 AI와 차별화된 소버린 AI 개발 철학과 필요성을 공감하고, 출연연이 국가 정책의 싱크탱크로서 수행할 역할을 조망한다.
이날 토론회는 권오욱 ETRI 지능정보연구본부장의 ‘AI R&D 추진전략’ 발제를 시작으로 각 출연연에서 개발 중인 소버린 AI 특화모델에 대한 전문가 발표와 유원필 ETRI 인공지능창의연구소장을 좌장으로 하는 패널토론, 질의응답으로 진행된다.
이 자리에서 권 본부장은 AI를 국가 과학기술 연구혁신의 촉진 도구로 활용하기 위한 방향으로 대한민국 연구 환경에 특화된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과, 이를 기반으로 바이오, 에너지, 로봇 등 분야별 AI 기술을 발전시켜 산학연 과학기술 생태계에 기여하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또 ETRI는 자체 개발한 언어 및 시각 생성모델을 바탕으로 출연연 연구성과와 데이터, 노하우를 활용해 과학자처럼 사고할 수 있는 강소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제안, 출연연에 우선보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각 기관별로 피지컬 AI 기술 전략(KIST), 첨단 바이오와 소버린 AI 활용전략(KRIBB), AI for Science 기술개발을 통한 연구자 지원과 과학적 발견 도모(KISTI), 한의 Private 생성형 AI 모델(KIOM), 제조 AI 파운데이션 모델(KITECH), 국가공공분야 소버린 AI 사이버보안(NSR), 철도특화 생성형 AI(KRRI), 지질자원분야 소버린 AI 확보전략(KIGAM), 로봇 작업 AI 파운데이션 모델(KIMM), Energy AI Everywhere(KIER), AI 기반 전력계통운영 EMS 개발(KERI), 동물데이터 기반 독성규제분야 특화 AI(KIT), 원자력연구원의 AI Agent 활용(KAERI), 소재 발견 파운데이션 모델(KIMS), 핵융합 설계·제어를 위한 AI(KFE) 등을 발표한다.
23개 출연연은 각 기관이 보유한 전문성과 공공데이터, AI 기술을 연계해 K-소버린 AI 생태계를 구축해 공공분야에 적합한 국산 AI 생태계 실현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공동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TRI는 차세대 국가 R&D 혁신전략 추진을 위해 다양한 AI 기반 융합 연구를 지속하고, 이번 토론회를 통해 출연연 협력 생태계 내 실질적 역할 확대와 R&D 정책 연계성 강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방승찬 ETRI 원장은 “소버린 AI는 단순한 기술 확보를 넘어 국가주권과 공공신뢰 확보를 위한 전략적 AI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기관 간 시너지를 바탕으로 공공분야에 특화된 AI 기술 개발 및 활용 방안이 구체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ETRI는 지난주 NC AI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국가 독자 인공지능 기초 모형(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 공모에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