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전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2조2000억원 증가했다. 고강도 가계부채 관리 방안의 효과가 나타난 결과다.
금융위원회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지난달 전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2조2000억원 증가하면서 전월 기록한 6조5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고 밝혔다.
지난 1월 9000억원 감소했던 금융권 가계대출은 2월 4조2000억원, 4월 5조3000억원, 6월 6조5000억원 등 가파르게 증가했다. 당시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빚내서 집을 사는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이에 정부는 집값 과열을 막기 위해 대출을 규제하는 가계부채관리 강화방안을 지난 6월27일 내놓았다. 이후 대출 증가세가 확연히 꺾였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지난달 가계대출을 항목별로 보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전월 대비 4조1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6월 6조1000억원이 증가했던 것에 비해 증가폭이 줄었다. 신용대출이 포함된 기타대출은 1조9000억원 감소했는데 지난 3월 이후 4개월 만에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업권별로 보면 7월 중 은행권 가계대출은 2조8000억원 증가해 전월 6조2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둔화했다. 세부적으로는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폭이 전월 대비 축소(3.8조원→2.2조원)됐다. 정책성대출도 증가폭이 소폭 축소(1.3조원→1.2조원)됐다. 기타대출은 전월 대비 감소세로 전환(1.1조원→-0.6조원)했다.
지난달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6000억원 감소해 3000억원 증가했던 전월 대비 감소세로 돌아섰다. 상호금융권(1.2조원→0.3조원)은 전월 대비 증가폭이 둔화했다. 저축은행(-0.04조원→-0.3조원)과 보험(-0.3조원→-0.4조원)은 전월 대비 감소폭이 확대됐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7월 가계대출 증가세는 7000억원이 증가한 지난 3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전년 동월 증가폭(5.2조원)에 비해서도 크게 낮은 규모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 등의 영향으로 7월 가계대출 증가세가 크게 안정된 것은 사실이나 8월은 통상 계절적 요인(이사수요, 휴가철 자금수요 등)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되는 시기”라며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속적으로 안정화될 때까지 시장 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규제지역 LTV 추가 강화, 거시건전성 규제 정비 등 조치를 선제적으로 시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