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과 국내 주요 기업 총수들이 한미정상회담을 위해 방미 일정을 수립한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 사장단이 원전 협력을 위해 미국을 먼저 방문한다. 최근 웨스팅하우스 등 미국과 원전 불공정 계약 논란이 있었던 만큼, 이번 일정에서 이를 만회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산업부는 김정관 장관이 22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 등 정부 사절단이 23일 한일 정상회담을 소화한 뒤 25일 한미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출국할 예정인데, 이보다 먼저 미국에 도착하는 셈이다.
김 장관은 한미정상회담에 앞서 미국과의 관세 협상 당시 합의한 대미 투자 등 세부적인 양국 협력 방안 등을 사전에 조율하고, 원전 협력 등을 지원사격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이보다 앞서 21일(전날) 미국으로 출국했으며,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23일 미국으로 출국할 예정이다. 김 사장과 황 사장은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과, 미 원전 기업 웨스팅하우스 등을 만나 원전 협력 및 지난 1월 체결한 계약의 후속 조치·대응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체코 두코바니 원전 건설 수주 과정에서 한수원이 웨스팅하우스와 지식재산권 분쟁을 해소하기 위해 ‘불공정 계약’을 체결했다는 논란이 최근 불거진 가운데, 이번 일정을 통해 웨스팅하우스와 합작회사(JV, 조인트벤처)를 설립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선 한수원이 웨스팅하우스와의 JV 설립을 주도적으로 추진 중인 상황에서, 타결 임박 단계에 접어들면 모회사인 한전도 논의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이들 경영진 간 만남 일정이 최종적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며, 양측 간 합작회사 논의도 타결 임박 단계까지 진척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부 산하 공기업을 포함해 우리 정부는 한미정상회담 등 이번 방미 일정을 통해 미국과의 원전 협력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50년까지 현재 약 100GW(기가와트)인 원전 설비용량을 400GW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며 원전의 대대적 확대를 추진 중이다. 미국이 추가로 짓겠다고 한 300GW는 1GW 원전 기준 약 300기 분량이다.
당장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착공하겠다 밝혔지만, 현재 미국은 1979년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 이후 신규 건설 인허가가 장기간 중단되면서 자국 내 공급망이 사실상 붕괴한 상황이다. 이 가운데 미 측은 원전 확대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해주길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