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 CEO들을 만나 “금융소비자 정보보호는 경영진이 직접 챙겨야 할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16일 여전사 CEO 및 여신금융협회장 간담회에서 “최근 금융권의 사이버 침해 사고를 뼈아픈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금융소비자 정보보호 지출은 단순한 비용이 아니라 금융사의 생존을 위한 필수 투자”고 말했다.
최근 SGI서울보증보험, 웰컴금융그룹, 롯데카드 등 개인정보를 다루는 금융회사에서 해킹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여전히 보안 투자를 비용으로만 인식하는 분위기를 바꿔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대표이사는 ‘단 한 건의 사고도 용납하지 않는다’는 제로톨러런스 원칙으로 직접 사이버 보안 인프라를 재점검하고, 법령에서 요구하는 보안대책을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며 “국민이 여전사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잃는다면 현재 여전사의 기능은 대체될 수 있으며 업권의 존립이 위협받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위반 사례에 대해서는 무거운 책임을 묻겠다”고 덧붙였다.
소비자 권익 강화도 주문했다. 이 원장은 침해사고 등 긴급 상황에서 소비자가 카드 사용 중지나 재발급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앱·홈페이지·콜센터 등 접근 채널을 대폭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소외계층 지원 확대를 위해 △소멸시효 연장 자제 △고령층 카드포인트 사용 활성화 △개인채무자보호법에 따른 자체 채무조정 △근로자 햇살론 확대 등을 추진해 연체 차주와 취약계층의 재기 지원에 적극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내부통제 강화와 건전성 관리도 강조했다. 그는 내년 도입되는 책무구조도에 대비해 내실 있는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경기 불확실성을 고려해 부실 PF 사업장에 대한 관리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며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는 등 선제적 대응을 당부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중·저신용자의 자금 조달이 과도하게 위축되지 않도록 세심히 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여전사의 역할 확대와 혁신 금융 지원도 언급했다. 이 원장은 “여전사는 신기술 금융업을 통해 모험자본 공급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지만 최근 몇 년간 관련 투자가 위축됐다”며 “기술 기반 성장단계(스케일업) 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모험자본 공급의 한 축을 담당해 달라”고 말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여전사 CEO들은 취약차주 지원과 중소·벤처기업 자금 공급 필요성에 공감하며 부동산 PF 정상화, 가계부채 관리, 지급결제 혁신 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다만 결제시장 경쟁 심화와 경기 둔화로 인한 수익성 악화 등 어려움을 토로하며 정책적·제도적 지원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