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가 한국영화성평등센터 ‘든든’의 지원을 중단해 성희롱·성폭력 예방 민간협력 체계가 무너졌다며 지원 재검토를 촉구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임 의원은 26일 영화계 성희롱·성폭력 피해자 지원 창구 ‘든든’에 대한 영진위의 지원 중단을 강하게 비판했다. 임 의원은 이날 “행정 편의를 이유로 피해자 중심 협력망을 무너뜨려서는 안 된다”며 “문체부와 영진위가 정상적 지원 방안을 다시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든든’은 2018년부터 영진위와 여성영화인모임이 공동 운영해 온 민관 협력 기구다. 해당 기간 영화제·촬영현장·대학 등에서 915차례 예방교육을 시행했으며, 누적 참여자는 2만6000여명에 달한다. 특히 성폭력 전문 변호인단을 꾸려 법률 지원도 병행하며 업계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현재는 이에 대한 지원이 끊겼다는 설명이다. 임 의원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인 2023년부터 사업 방식이 입찰제로 바뀌면서 지난 5월 이후 사업 주체가 노무법인으로 교체됐다. 이 과정에서 비영리법인이 배제돼 ‘든든’은 지원이 없어졌다.
하지만 지원 중단 이후에도 기존 피해자 20명 중 11명은 이관을 거부하고 ‘든든’에 잔류했다. 지난 6~8월 신규 사건도 ‘든든’에 접수돼, 상담 건수는 오히려 노무법인보다 많았다.
업계에서는 성폭력 전문 상담사가 아닌 노무사가 사건을 맡는 방식에 불신이 커지는 실정이다. 특히 영화제작가협회·영화감독조합·영화산업노조 등 단체들은 영진위에 매년 입찰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하며 “든든을 지정 위탁해야 한다”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이에 임 의원은 “예방교육과 피해자 지원은 연속성과 신뢰가 핵심"이라며 “행정 효율보다 피해자 중심 체계를 지키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