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의약품 100% 관세 압박 민·관 긴급간담회…“관세 부담 지원 필요”

美 의약품 100% 관세 압박 민·관 긴급간담회…“관세 부담 지원 필요”

13조6000억원 긴급 경영자금 투입
바이오헬스 수출 특화 지원 예산 349억원 반영

기사승인 2025-09-29 13:19:5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압박이 거세지는 가운데 정부가 제약바이오 기업과 만나 수출에 필요한 사항을 점검했다.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오전 의약품 수출 기업 5개사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와 긴급간담회를 개최했다.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주재로 진행된 이날 간담회는 미국 관세 부과 동향에 따른 기업들의 애로사항 청취를 통해 실질적인 정부의 기업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25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오는 10월1일부터 미국 내 제약공장을 짓고 있거나 착공 중이지 않는 한 의약품에 100% 품목관세를 부과한다고 예고했다. 

이번 긴급간담회에는 대미 의약품 수출에 활발하게 나서고 있는 SK바이오팜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 대웅제약, 셀트리온이 참석했다. 정부는 관세 피해 기업들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 13조6000억원의 긴급 경영자금과 270조원의 무역보험을 공급한다. 물류비 지원은 3000만원에서 6000만원으로 2배 확대하는 등 수출 바우처 지원과 해외 전시회 사절단 지원 대상 확대 등 대체 시장 개척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해외 진출 거점 구축 및 컨설팅 지원, 글로벌 마케팅 비용, 운송비 등 수출부대비용 지원,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확대 등 바이오헬스 산업 글로벌 진출을 위한 수출 특화 지원 예산 349억원을 내년도 정부안에 확대 반영할 계획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 관계자들은 미국 정부의 품목관세 부과시 기업 부담 증가, 수출 경쟁력 약화 등을 우려하며 미국 시장 진출 지원 확대와 수출국 다변화 전략 지원 등 정부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 확정시 우리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 지원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적극 반영하겠다”며 “대외적인 위기 속에서도 의약품 수출 호조세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민관이 협력해 관세 대응에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말했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