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이 집값 안정을 위해 추가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29일 세종시 한 식당에서 열린 국토부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추가 대책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얘기를 계속 듣고 있고 필요하면 하겠다”며 “현재 시장 상황을 매우 유심히,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고 강조하고 싶다”고 언급했다.
보유세에 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김 장관은 “장관 입장이 아닌, 인간(개인) 김윤덕 입장으로 보유세를 늘려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발언했다.
김 장관은 추가로 나올 수 있는 주택 정책 가운데 세제 강화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국토장관이 (기획재정부 장관 소관인) 세제 문제에 대해 거론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면서도 “필요하다면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문재인 정부 당시 20여차례에 걸쳐 부동산 정책이 발표된 사실을 거론하며 “단발성이 아니라 차분하게 종합적으로 검토해 대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모든 것은 종합 대책으로 발표한다는 원칙에 입각해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서울시와 경기의 일부 지역 집값이 급등세를 보이면서 정부가 추가 부동산 대책을 내놓는 것 아니냐는 전망에 대해서는 “계속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와 정책 협력이 잘 이뤄지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철저히 협력하겠다는 것이 기본적 원칙”이라며 “서울시와 상당히 합리적으로 조정과 대화가 잘 되고 있다”고 말했다.
가덕도신공항에 대한 재입찰 절차 진행이 지지부진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을 듣는 과정으로 연내 (재입찰을) 추진할 것”이라며 “10월 말이나 11월 초 정도에는 국토부가 주관해 (적정 공사 기간에 대한) 가닥을 잡아 실무적 절차에 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가덕도신공항의 적정 공사 기간을 두고 정부가 제시한 84개월(7년)과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주장한 108개월(9년) 사이에서 논란이 일었다. 지난 5월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기본 설계안에 108개월의 공사 기간을 반영하자 국토부는 수의계약 절차를 중단했다. 이후 현대건설은 컨소시엄에서 탈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