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항생제 사용량 OECD 2위…“국민 건강 심각한 위협”

한국, 항생제 사용량 OECD 2위…“국민 건강 심각한 위협”

기사승인 2025-10-13 07:16:00
쿠키뉴스 자료사진

우리나라의 항생제 사용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으로 ‘슈퍼박테리아’를 키워 국민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질병관리청과 최근 발표된 OECD 보건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항생제 사용량은 인구 1000명당 하루 31.8 DID(DDD/1000 inhabitants/day)를 기록했다. 이는 2022년 4위(25.7 DID)에서 두 계단이나 상승한 수치로, 자료가 공개된 OECD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높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2019년 항생제 내성을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는 10대 요인으로 지목했다. 항생제가 듣지 않는 내성균에 감염되면 치료가 어렵고 입원 기간과 비용이 늘며,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면역력이 약한 노인과 어린이에게 특히 치명적이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2024년 11월부터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ASP)’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병원 내 전문 인력을 통해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여 내성균 확산을 막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범사업의 효과는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의뢰로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수행한 실태조사 결과, 사업 참여 병원의 항생제 관리 수준이 눈에 띄게 향상됐다. 참여 병원 모두(100%)가 특정 항생제의 처방을 관리하는 ‘제한항생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반면, 미참여 병원은 그 비율이 56.6%에 그쳤다.

특히 미생물 검사 결과에 따라 더 적합한 항생제로 바꾸도록 중재하는 활동은 참여 병원(59.2%)이 미참여 병원(10% 미만)을 압도해 관리 시스템이 빠르게 정착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다만 전문 인력 부족이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조사 대상인 300병상 이상 의료기관 중 절반 이상(53.6%)이 인력 부족으로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질병관리청은 곧 2차년도 시범사업 기관을 공모에 나설 방침이다. 또 학계와 협력해 전문인력 교육과정을 개설하는 등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은 감염에 민감한 노인과 여린이이 생명을 지키는 일”이라며 “ASP가 의료 문화로 정착하고 중소·요양병원까지 확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정혜선 기자
firstwoo@kukinews.com
정혜선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