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망 확충 계획, 국가균형발전 고려해야…주민 소통 중요한 시점” [2025 국감]

“전력망 확충 계획, 국가균형발전 고려해야…주민 소통 중요한 시점” [2025 국감]

기사승인 2025-10-14 16:21:07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호영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장(더불어민주당)이 전력망 확충 계획에 있어 국가균형발전을 고려해야 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진정한 주민수용성 확보라고 강조했다.

안 위원장은 14일 서울 국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후에너지환경부 국정감사에서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에게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계획의 대부분이 수도권 중심 사업을 위한 방향으로 가고 있어 지역 간 불균형 심화가 우려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안 위원장은 “현재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99개 사업이 발표가 됐고, 이 중 송전선로 사업 70개, 변전소 사업 29개가 국가기간망 설비로 지정됐는데 대부분 수도권을 위한 사업인 데다 특히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로 이어지는 초고압송전망이 핵심으로 여겨지고 있다”면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대한민국 전체 전력의 10%에 달하는 10GW(기가와트)가 넘는 막대한 전력을 끌어 쓸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북도만 해도 99개 전력망 확충 계획 중 약 27개가 신설되는 것으로 예정돼 있는데, 수도권 전력 공급을 위해 지방의 희생을 강요한다면 국가균형발전 정신에는 맞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김 장관은 “(위원장의)우려에 대해 충분히 공감하고 있지만, 의사결정이 이미 된 부분을 어디까지 조정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며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지역별 차등요금제, 분산편익제도 등을 적극 활용해 균형발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안 위원장은 전력망 확충 사업 과정에서 주민수용성 미확보에 따른 주민 반대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는 점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그는 “전력망 확충 사업 관련 호남권을 중심으로 전국 단위의 반대 대책위원회가 구성되는 등 갈등이 상당히 심화하고 있다”며 “이분들을 만나본 결과, 무조건 반대하는 게 아니고 지역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 이러한 주민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있냐”고 물었다.

이에 김 장관은 “고압 송전망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송전망이 지나가는 지역 주민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을 충분히 상쇄하고 이익을 배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생각한다”며 “가급적 지산지소 형태로 하되 불가피한 부분은 해당 지역 주민들이 충분히 동의할 수 있는 정책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안 위원장은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선로를 세우는 것보다 ‘신뢰의 선로’를 세우는 것”이라고 강조했고, 김 장관은 “그간 고압 송전망을 연결하는 사업이 워낙 지체됐기 때문에 급한 순서대로 의결을 했지만, 지역 주민들과 더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추후 12차 전기본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내용들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재민 기자
jaemin@kukinews.com
김재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