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무역협상에서 최대 쟁점인 3500억달러(약 480조원) 규모 대미 투자 약속과 관련해 “양국이 모든 주요 사안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공개된 미 경제 매체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투자 방식, 투자 규모, 일정, 손실 분담 및 배당금 배분 등 모든 부분이 아직 논쟁 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현재 한미 양국은 지난 7월 무역 합의를 했을 때, 한국이 하기로 한 3500억달러 대미 투자 패키지의 구성과 이행 방안 등을 두고 접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오는 29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무역 합의를 발표할 수 있을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미국이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건 당연하지만, 그것이 한국에 재앙적 결과를 초래하는 수준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논의는 계속되고 있으며 견해차가 일부 남아 있지만, 지연이 곧 실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한국은 미국의 동맹이자 우방이기 때문에 우리는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합리적인 결과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으며 그렇게 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이번 인터뷰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방미 협의(현지시간 22일·한국시간 23일)를 진행한 다음날인 24일 이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9월 미국 조지아주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던 한국 노동자 300여명이 미국 이민 당국에 구금됐다 풀려난 사건과 관련해선 “노동자들에게 심각한 트라우마를 일으켰으며 난 일부 노동자가 (미국으로) 돌아가기 싫어한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노동자들을 위한 안전과 합리적인 대우를 보장할 조치가 이뤄지지 않으면 미국 내 공장 건설이 매우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