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함에 따라 이낙연 국무총리는 긴급 방역대책회의를 열고 “피해 최소화를 위한 초동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필요한 모든 조치를 신속히 추진하라”고 당부했다.
이낙연 총리는 17일 경기도 파주시 소재 돼지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됨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를 포함한 관계부처 장관과 17개 시도 단체장들과 긴급 ASF 방역대책회의를 열고 이같이 주문했다.
이날 회의에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행정안전부‧국방부‧환경부 장관과 국무조정실장, 국무2차장, 경찰청장, 농림축산검역본부장, 경기‧강원도지사, 인천부시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대책회의에서 이 총리는 “ASF가 사람에게는 감염되지 않지만 돼지에 감염 시 치사율이 최대 100%에 이르는 등 국내 양돈산업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면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철저한 초동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이 총리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위기경보단계가 ‘심각’ 단계로 강화된 만큼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필요한 모든 조치를 신속히 추진하라”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발생농장과 관계농장에 있는 돼지를 살처분하고, 거점별 소독시설 운영, 축사와 농장 출입차량에 대한 소독 등 현장 방역을 철저히 진행한다.
특히 이 총리는 ASF의 주요 전파 원인인 남은음식물을 돼지에게 먹이는 것을 전면금지하고, 야생멧돼지가 양돈농장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발생지역 예찰 강화하라고 주문했다. 또 발생지역 외에도 전국의 6000여 양돈농가에 대한 일제점검을 실시하고, 방역 및 신고요령을 세밀하게 교육‧홍보하라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신속한 역학조사를 실시해 전파 원인을 찾아 차단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하고, 외교부와 국토부, 관세청 등 관계부처에서는 불법축산물 반입을 막기 위해 여행객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발생국 여객기 일제검사를 확대하는 등 국경검역을 철저해 해달라고 이 총리는 지시했다.
또 이 총리는 “환경부에서는 남은음식물 처리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철저히 조치하고, 보건복지부는 국민들께서 불안해하지 않도록 사람에게 전파되지 않는다는 점도 널리 알릴 것”을 주문했다.
총리실은 이 총리가 “ASF 조기 퇴치 사례와 비결을 신속히 파악해 활용하고, 만약 본받을 만한 사례가 없으면 우리가 조기 퇴치 성공모델을 만들어나갈 것을 강하게 주문했다”고 전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