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오을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국민통합위원장은 TK(대구·경북) 지역의 민심이 변화하고 있다며 “이재명 후보의 진정성과 실용 중심 메시지가 지역 유권자들에게 강한 설득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전했다.
권 위원장은 15일 YTN라디오 ‘뉴스파이팅, 김영수입니다’에 출연해 “예전엔 파란 옷 입었다고 나무라던 어르신들이 요즘엔 ‘여름엔 파란 옷도 입는다’며 웃으며 넘기고, 어떤 분은 ‘잘했다’, ‘딸이 전화 왔다’는 등 긍정적인 반응이 많아졌다”고 밝혔다.
그는 “이 후보의 ‘잘사니즘’, ‘먹사니즘’이라는 표현은 TK 유권자들에게 피부에 와닿는 말”이라며 “정당보다도 지금은 국민들이 잘 먹고 잘 사는 길을 찾고 있다. 그게 이재명 후보라는 데 공감이 생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 위원장은 특히 “박정희 전 대통령의 부국강병 노선과 이재명 후보의 민생 우선 정책이 일맥상통한다”며 “박 전 대통령 생가에서 ‘이번 대선에 누구입니까’라고 마음속으로 묻자 ‘이재명이다’는 응답이 들린 듯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 말을 유세 중 편하게 꺼낸 것인데, 박정희 전 대통령은 특정 진영의 대통령이 아니라 대한민국 대통령이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보수층의 이동 가능성도 언급했다. 권 위원장은 “최근 홍준표 전 시장 지지자 모임인 ‘홍사모’가 이재명 후보 지지를 선언했는데, 이런 흐름은 앞으로 더 확산될 것”이라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절차에 따라 뽑은 후보를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통째로 바친 상황을 지켜본 합리적 보수 유권자들이 많이 실망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재명 후보는 중도 보수까지 포용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해 왔고, 그런 점에서 보수 유권자들이 민주당으로 이동하는 데도 큰 저항이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선거법 개정안과 관련한 발언도 이어졌다. 권 위원장은 “이재명 후보에 대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자체가 성립되기 어려운 사안이었다”며 “3년간 수사해도 돈 한 푼 받은 게 없었는데, 말 실수 하나로 후보 자격을 문제 삼는 건 정치 보복이자 사법 탄압”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우리나라 선거법은 너무 복잡하고 단속 위주로 돼 있다. 말 한마디 실수도 잡아 처벌하는 법은 전면 개정돼야 한다”며 “야당만 걸리고 여당은 빠지는 ‘이현령비현령’식 선거법은 이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대법관 증원안과 관련해선 “30명 선까지는 논의해볼 수 있지만 100명은 과도하다”며 “한 임기에 대통령이 10명 넘게 대법관을 임명하는 구조는 재고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권 위원장은 “먹고사는 문제에 대해선 국민들이 실적을 낸 사람을 원하고 있다. TK도 이제는 정당보다 인물을 본다”며 “이번 대선은 결국 이재명으로 수렴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