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은 봄철 산불조심기간 종료 이후에도 대통령선거일까지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관심’ 단계로 유지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과거 선거기간 중 산불발생이 잦았기 때문이다.
또 산림청은 올봄 산불로 인한 피해 면적이 10만 4788㏊ 1986년 산불통계 작성 이래 가장 컸고, 사상자도 사망 32명, 부상 54명 등 86명으로 가장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다고 현황을 설명했다.
산림청은 지난 3월 이상고온과 건조한 날씨로 산불이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 진화자원이 분산됐고, 특히 태풍급 돌풍으로 헬기 등 공중진화와 관측자원 운용이 제한되면서 대응에 한계를 겪었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이번 산불을 계기로 범부처 협업을 통해 산불 대응력을 한층 높일 방침이다.
특히 산림인접 국가유산, 전력시설, 사회복지시설, 농막 등에서 화재가 산불로 확산되지 않도록 부처별 소관 시설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극한 기상에 대비해 기상위성, 고정익기, 중고도 드론 등을 산불 대응에 활용할 계획이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올봄 산불로 역대 최악의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한 것에 대해 깊은 책임을 통감한다”며 “이를 계기로 드러난 여러 문제점을 개선해 산불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이미라 산림청 차장은 울산 산불피해지 응급복구 현장을 찾아가 산사태 등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상황을 점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