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가 민생 안정과 재난 대응을 위해 총 405억원 규모의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
14일 시에 따르면 이번 추경예산안은 기정예산 대비 0.4% 증가한 총 11조 3915억원 규모로, 일반회계는 9조 1297억원으로 297억원 증가했고, 특별회계는 2조 2618억원으로 108억원 늘었다.
주요 재원은 국고보조금 209억원, 세외수입 153억원, 특별교부세 18억원 등이다.
대구시는 이번 추경을 정부 제1회 추경의 취지에 맞춰 민생과 재난 대응에 시급한 필수사업 위주로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소비 회복과 취약계층 지원을 중심으로 총 241억원을 반영했다.
우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196억원을 투입해 총 2800억원 규모의 지역사랑상품권(대구로페이)을 발행할 계획이다. 할인율은 7%이며, 개인당 월 구매한도는 50만원이다. 상품권은 충전식 선불카드 형태로 발행되며, 10만여 곳의 대구로페이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자동차 부품업계의 구직자 및 재직자 대상 고용안정지원금 10억원, 최중증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지원 3억원, 지역암센터의 첨단 의료장비 도입을 위한 장비비 8억원 등도 포함돼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했다.
재난과 안전 대응을 위한 예산으로는 164억원이 반영됐다. 산불방지를 위해 동구, 북구, 달성군, 군위군 등 6곳에 산불감시카메라를 새로 설치하는 데 4억원을 편성했고, 북구 함지산 등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산림인접 마을 60곳에는 비상소화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5억원을 투입한다. 또 지반침하 사고 예방을 위해 노후 하수관로 정비에 57억원, 노인요양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의 화재안전성능 보강을 위해 6억원이 편성됐다.
정부 제2회 추경과 연계해 추진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도 7월 21일부터 지급된다. 1인당 18만~55만원이 1차로 지급되며, 이후 소득 선별 과정을 거쳐 국민 90%에게 10만원이 추가 지급된다. 쿠폰은 신용·체크카드 또는 대구사랑상품권(카드·모바일) 형태로 선택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기한은 11월 30일까지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추경예산안은 정부 추경과 연계한 신속한 민생지원을 통해 지역 경기 회복에 기여하고자 했다”며 “소비쿠폰과 지역사랑상품권이 지역경제 회복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시와 구·군이 함께 빈틈없이 준비하고 신속히 집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추경예산안은 오는 17일부터 열리는 제318회 대구시의회 임시회에서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