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두 번째 혁신안으로 ‘중앙당무회의 부활’을 꺼내 들었다. 중앙당무위원회는 당대표가 지명한 인물들을 지도부로 구성하는 구조다. 당내에서는 ‘제왕적 당대표’와 혁신은 거리가 멀다는 비판을 쏟아냈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혁신위원회의 ‘중앙당무회의’는 당대표가 전권을 행사할 수 있는 구조로 돼 있다. 중앙당무회의는 당대표와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수석대변인, 청년위원장, 여성위원장, 당대표 지명 원외당협위원장 두 명으로 구성된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최고위원회가 사라지고, 최고위원 사퇴로 인한 당 지도부 해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당원소환제를 제외하면 견제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지는 셈이다.
또 17개 시·도당 대표가 참여하는 ‘전국민심회의’를 신설해 견제 기능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당대표가 전국민심회의 의장을 맡아 견제는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
당내에서는 두 번째 혁신안을 두고 거세게 반발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잦은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이 문제라면 ‘이준석 조항’부터 폐지하면 된다”며 “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부총질을 문제 삼아 이준석 의원을 내쫓을 때 바꾼 당헌”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준석 조항 삭제는) 윤 전 대통령의 흔적을 지우는 일이고, 첫 번째 혁신안과 맞닿아 있는 내용”이라며 “당원의 최고위원 선택권을 당대표에게 넘기는 것은 당내 민주주의에 역행한다”고 비판했다.
최고위원을 역임한 국민의힘 관계자도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과거 정치권에서 실패한 총재 체제가 부활하는 것과 같다. 당 혁신위가 과거로 역행하는 중”이라며 “두 번째 혁신안은 ‘혁신’ 단어도 붙이기 어려운 내용을 들고 왔다”고 했다.
다른 전직 최고위원도 본지와 통화에서 “당대표가 이상한 방향으로 간다면 최고위원은 최후의 보루가 될 수 있다. 당내 모든 계파가 반발하는 것을 보면 이는 유·불리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당원이 직접 선출한다는 것은 운영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상대적으로 얼굴을 알리기 힘든 청년과 여성 등이 전국구 선거를 통해 얼굴을 알릴 기회”라며 “이 기회를 뺏고, 당대표에게 모든 권한을 준다는 것은 독재정당을 만들겠다는 의미”라고 질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