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지역에서 최근 10년간 여름철 발생한 화재 10건 중 1건은 차량 화재로, 7~8월 차량 화재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는 최근 10년간(2015~2024년) 여름철(7~8월) 화재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계절적 요인과 생활환경 변화에 따라 특정 시기와 유형에 화재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고 15일 밝혔다.
소방본부에 따르면 같은 기간 전북에서 발생한 전체 화재는 2만 722건으로, 여름철에 2841건이 발생해 전체의 약 13.7%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차량 관련 화재는 총 2803건으로 전체 화재의 13.5%를 차지했고, 특히 여름철(7월 239건, 8월 248건)에만 487건이 발생해 전체 차량 화재의 17.4%가 이 시기에 집중됐다.
전체 화재 중 차량 화재가 차지하는 비율도 7월 18.1%, 8월 16.3%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여름철 고온다습한 기후로 ▲전기·기계 설비 과부하 ▲차량 온도 상승 ▲불꽃 취급 부주의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화재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시기로 분석됐다.
화재 원인별로는 기계적 요인이 1049건(37.4%), 전기적 요인이 686건(24.5%)으로 가장 많았고, 여름철에는 엔진·냉방장치·배선 계통의 과열이나 고장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전기기기 관련 화재도 여름철에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전기기기로 인한 전체 화재는 총 1007건이며, 이 중 195건(19.4%)이 여름철(7~8월)에 집중됐다. 특히 8월에는 전체 화재 1517건 중 107건이 전기기기에서 발화돼 월별 비율로는 7.1%로 가장 높았다.
기기별로는 에어컨 132건, 선풍기 65건 순으로 많았고, 여름철에만 각각 64건(7월), 68건(8월), 선풍기 26건(7월), 39건(8월)으로 냉방기기의 사용량 증가와 관리 소홀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7~8월) 전기기기 화재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전기적 요인이 83건(43%)으로 가장 많았고, 부주의(50건, 26%), 기계적 요인(39건, 20%)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한 제품 결함을 넘어, 멀티탭 과부하, 장시간 사용, 전선 노출 등 생활 속 안전 습관 부재가 주요 화재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오전 9부터 10시 사이(161건), 이어 10에서 11시 사이(151건), 11시에서 12시 사이(180건) 등으로 오전 시간대에 집중됐다.
이오숙 전북자치도소방본부장은 “여름철은 생활 전반에 걸쳐 화재 위험이 높아지는 시기인 만큼, 화재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