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간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면서 상호 관세가 기존 25%에서 15%로 인하됐지만, 자동차 품목의 경우 발효 시점이 늦어지면서 업계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4일 한국자동차부품협회 등에 따르면 미국과의 자동차 품목 관세 인하 발효 시점은 9월 중순 이후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최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의 인터뷰에서 “영국의 경우 관세 실행까지 50일 정도 걸렸다”며 “영국의 사례가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자동차 품목 관세 인하 발효 시점도 협상 후 50일 전후가 될 것이라는 계산이 나온 것이다.
현재 자동차 품목 관세 15%가 적용되지 않고 있는 건 품목 관세의 경우 상호 관세와 별도의 근거법으로 이뤄져 있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 서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약 없는 행정명령 발표 시점에 수출현장에서는 여전히 자동차 품목 관세 25%를 부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수출 관세 25%로 기업 상당수가 한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어려운 상황에서 15% 관세에 따른 3분기 반등을 노렸지만 관세 적용이 늦어져 기대감이 꺾였다”라며 “이로 인해 특히 중소기업과 2,3차 협력사의 피해는 더욱 극심해질 것 같다”고 우려했다.
관세 부과의 여파는 실적에서도 드러난다.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각각 8282억 원, 7860억 원 감소해 총 1조6142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한국타이어의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53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8% 줄었다.
한국무역협회 집계에 따르면 2025년 4~6월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4월 28억9000만 달러(전년 동월 대비 -19.6%) △5월 25억2000만 달러(-27.1%) △6월 26억9000만 달러(-16.0%)로 감소세가 이어졌다.
이처럼 관세 인하가 늦어지면서 업계 피해가 확산되는 가운데, 대규모 재정 지원 등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문학훈 오산대학교 미래전기자동차학과 교수는 쿠키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 자동차 품목 관세가 25%로 유지되면서 3분기에도 관련 업계의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업계들이 부품 다양화를 통한 매출 향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와 동시에 자동차 산업 전환 과정에서 필요한 연구비와 교육비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강구해 산업의 전반적인 성장을 이뤄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