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하늘 나는 택시’ UAM 상용화 눈앞…韓 여전히 ‘안갯속’

美·中, ‘하늘 나는 택시’ UAM 상용화 눈앞…韓 여전히 ‘안갯속’

기사승인 2025-08-27 18:17:05
정부가 올해 말 상용화를 목표로 지난 2023년부터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사업을 추진해 왔지만, 기체 개발부터 인프라 확보 등 난항을 겪으면서 상용화 시점이 미뤄지고 있다. 드론의 모습. 국토교통부 제공 

미국과 중국 등 세계 각국이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한국의 관련 사업 진척도는 지지부진하면서 상용화 시점이 안갯속에 빠졌다는 평가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UAM 상용화 목표가 당초 계획했던 2025년에서 2028년으로 늦춰질 전망이다. 앞서 정부는 올해 말 상용화를 목표로 2023년부터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사업을 추진해 왔지만, 기체 개발부터 인프라 확보 등 난항을 겪으면서 상용화 시점이 미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책사업이 지연되다 보니 해당 사업에 참여한 기업들 역시 투자를 확대하지 못하는 등 답보 상태에 놓여 있다. 미국 UAM 기업 조비 에비에이션에 1300억원 규모의 지분투자를 단행하며 협력 관계를 고도화한 SK텔레콤은 지난 3월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UAM 사업은 각종 규제나 기술 경쟁 등의 문제로 어려움이 있다”며 “시장 상황을 고려해 사업 추진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도 각각 UAM 부품 개발과 UAM 교통관리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부 주도로 이뤄지는 K-UAM 기체 개발이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부품 및 서비스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규모 투자와 긴 시간이 필요한 UAM 사업 개발 특성상, 정부의 상용화 계획 시기가 뒤로 밀리게 되면 기업 입장에서도 이에 맞춰 추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UAM 사업 추진 과정에서 △법적 규제 정비 △소음 문제 해결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등 제도적 준비가 미흡했다는 업계의 지적이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기체 개발과 버티포트와 같은 인프라 형성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UAM 상용화 계획을 무리하게 세운 것 같다”며 “UAM 상용화에 앞서 법적 규제 마련과 소음·안전 문제 등 관리 체계를 먼저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과 달리, 미국과 중국은 일찌감치 UAM 상용화에 나서면서 산업 초기 시장 선점 경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 UAM 기업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은 올해 말부터 뉴욕과 로스앤젤레스 등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개시하고 있으며,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은 기체 인증을 진행하고 있다. 두 기업은 내년부터 아랍에미리트의 아부다비와 두바이에서 UAM 상용화에 본격 나선다는 계획이다.

세계 최초로 무인 여객기에 대한 운항 자격을 취득한 중국 UAM 업체 이항(Ehang)은 이미 상하이 도심에서 UAM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 최근에는 광저우와 허페이로 시험 운행 지역을 확장했으며, 올해 말까지 제한 구역 내 운항에 나선다.

미국과 중국이 일찌감치 UAM 시장에 진출해 영역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도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한 기업과의 협력관계를 통해 UAM 운항부터 교통관리, 안전 등 체계적인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고 상용화에 더욱 속도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휘영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경영학과 교수는 “UAM 상용화에 앞서 제일 중요한 건 운영 시스템 체계 구축 여부”라며 “기체 안전성 인증을 비롯한 인프라(버티포트) 설치 규제, 교통관리 체계 등을 마련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K-UAM 상용화를 위해 정부와 기업, 관련 전문가 등이 함께 머리를 맞대 국내 환경에 맞는 도심항공교통 서비스 모델을 완성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지자체 맞춤형 UAM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고, 예산 지원을 비롯한 실증 연계·전문 컨설팅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며 “국내 실정에 맞는 실질적인 지원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K-UAM 서비스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송민재 기자
vitamin@kukinews.com
송민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