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가 초유의 권한대행 체제 속에서도 투자사업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의 국비 확보에 성공하며 지역 발전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대구시는 2026년도 정부예산안에 투자사업 기준 4조 2754억원이 반영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전년도 최종예산 4조 433억원보다 약 6% 증가한 규모로, 복지사업과 교부세까지 포함하면 국비 확보액이 8조 원대에 달한다.
시는 이번 성과를 연초부터 진행해온 국비전략 보고회와 신규사업 발굴, 권한대행 체제 전환 이후 여야 정치권·중앙부처를 상대로 한 전방위 설득 노력의 결과로 평가했다. 특히 지방재정협의회, 재정정책자문회의, 여야 예산정책협의회, 국정기획위원회 방문 등 협의 채널을 총동원하며 사업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강조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주요 반영 사업을 보면, 먼저 AI·로봇·바이오·모빌리티 등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거점 AX 혁신기술개발(198억) △국가로봇테스트필드(576억) △모빌리티 부품 제조AI확산센터(20억) △뇌 오가노이드 상용화 플랫폼(10억) 등이 포함됐다. 대구시는 이를 통해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교통 인프라 확충도 대폭 반영됐다. △대구산업선 철도(1918억) △대구경북신공항 민간공항 건설(318억) △조야~동명 광역도로(300억) △달빛철도(85억) 등이 예산안에 담기면서 대구가 동북아 물류·교통 허브로 도약할 기반이 마련됐다.
문화·관광 분야에서는 △디아크 문화관광 활성화(46억) △대구글로벌웹툰센터(28억)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17억) △경상감영 복원정비(11억) 등이 반영돼 전통과 콘텐츠 산업을 아우르는 글로벌 문화도시 건설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시민 안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예산도 대거 포함됐다. △하수관로 정비(507억) △대구철도통합무선망 구축(56억) △금호강 하천환경 정비(87억) △명복공원 현대화(80억) 등이 대표적이다. 시는 이를 통해 재난 대응 역량 강화와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대구시는 정부의 확장 재정 기조에 맞춰 내년도 국비 목표를 4조 3600억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국회 심의까지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정부예산안 반영은 전 직원이 원팀이 돼 중앙정부와 정치권을 설득한 성과”라며 “국회 심의 과정에서도 주요 국비사업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