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 외교부 장관은 미국 이민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 300여명이 11일 귀국하는 동시에 향후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을 받지 않는 것으로 미국 측의 확약을 받았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11일(현지시간 10일) 주미대사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오늘 오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만난 데 이어 오후에는 앤디 베이커 백악관 국가안보부보좌관을 만나 루비오 장관과 합의한 내용과 이행 여부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억류 상태인 우리 국민은 내일 비행기(전세기)를 타고 귀국할 수 있다. 또 그 과정에서 일체 수갑을 채우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사태로 구금 한국인들이 미국 재입국 시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하겠다는 것도 확약받았다”고 전했다.
조 장관은 루비오 장관과 면담에서 한국 전문인력의 미 입국 문제와 관련 새로운 비자 형태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무부와 외교부 간 워킹그룹을 만들어 새 비자를 만드는 데 신속히 협의해 나간다는 것까지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구금 한국인들의 귀국 절차가 늦어지게 된 것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들의 귀국 대신 미국에 계속 남을 것을 권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조 장관은 “여러 가지로 참 다행스럽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조 장관은 미 이민 당국의 한국인 대거 체포 및 구금의 원인에 대해선 “여러 음모론 같은 얘기도 나오고 있지만, 시간이 좀 지나고 잘 분석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한편 외교부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한국인 석방 및 귀국이 지연된 ‘미국 측 사정’에 대해 “루비오 장관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니 트럼프 대통령이 ‘구금된 한국 국민이 모두 숙련된 인력이니 미국에 남아 미국 인력을 훈련시키는 방안과, 아니면 귀국하는 방안에 대해 한국의 입장을 알기 위해 귀국 절차를 일단 중단하라 지시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조 장관은 우리 국민이 대단히 놀라고 지친 상태여서 먼저 귀국했다가 다시 와서 일하는 게 좋겠다고 얘기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