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국회의원연구단체 주최 ‘국회 AI 포럼 – 차세대 AI 기술과 치안서비스’에서 국민안전을 위한 최신 AI 기술과 연구방향을 소개한다.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리는 이번 세미나는 여야 국회의원 20여 명과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해 AI 기술을 활용한 미래 치안서비스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날 박혜숙 ETRI 국방안전융합연구본부장은 ‘국민안전을 위한 AI 최신 기술 동향과 치안 서비스 연구개발 방향’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박 본부장은 최근 급증하는 신종 범죄와 사회적 불안정성에 대응하기 위해 AI, 로봇, 드론 등 유무인 협업 기반 기술을 치안 현장에 적용하는 전략을 제시한다.
아울러 경찰장비에 AI 반도체를 탑재해 현장 중심의 스마트 치안을 구현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한다.
이는 긴급 상황에서 경찰의 대응 속도와 정확성을 높이고 인력부족을 보완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
이와 관련해 ETRI는 2021년 경찰청과 업무협약을 맺고 치안현장 인력부족 문제해결, 사회적약자 보호, 국민체감 안전서비스 확대를 목표로 AI 기반 현장 지능화 연구를 추진했다.
이번 세미나는 이런 연구성과와 함께 AI반도체, 빅데이터, 드론, 로봇 등 첨단 ICT 기술을 치안서비스에 접목하는 전략을 공유한다.
특히 ETRI는 공동 주관기관 대구테크노파크와 협력해 무인로봇 기반 유무인 협업 치안서비스 모델 발굴에도 힘쓰고 있으며, 국방 및 재난대응 분야에서 축적한 유무인 협업기술 적용 경험을 치안서비스로 확장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도 함께 제시한다.
또 AI 기술을 활용한 치안서비스 혁신을 경찰·소방·국방 공공안전 전 분야로 확산 가능성을 논의해 국민안전을 위한 과학기술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ETRI는 이번 발표에서 미래 치안환경에 선제적이고 과학적인 대응을 가능케 하는 차세대 치안서비스 참조모델을 제시하고, 향후 다양한 범죄 형태와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무인 협업 기반 치안 서비스 개발 전략을 공유할 계획이다.
이인선 국회의원은 “AI 기반 치안서비스는 단순히 경찰력을 보완하는 수준을 넘어 위험 지역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해 국민 신뢰를 높이고 공공안전을 강화하는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본부장은 “도시화와 인구밀집으로 치안수요가 급증하고, 신종 범죄와 사이버 범죄 위협이 날로 커지고 있다”며 “이런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AI와 유무인 협업기술을 활용한 첨단 치안 대응체계와 안전망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