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해상풍력 경쟁입찰 선정 프로젝트 사업자들의 고충을 듣고, 추후 사업에 반영하기 위한 업계 간담회를 진행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에서 해상풍력 경쟁입찰 선정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국내 해상풍력의 선행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는 2023~2024년 경쟁입찰 선정 사업의 현장 애로를 청취하고,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발전공기업 외 민간의 풍력개발이 활성화됨에 따라 지난 2022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을 도입했으며, 올 상반기까지 약 3년간 총 4.1GW(15개)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선정해 왔다.
현재까지 1개 사업이 준공되고, 2개 사업이 착공에 들어가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뒀으나, 해상풍력 업계는 여전히 군작전성 협의, 공유수면 점·사용허가 등 복잡한 인허가,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 등 다양한 애로들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지난 10일 정부는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의 핵심과제로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를 위해,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TF를 발족하고 국내 보급 가속화 기반을 조성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이호현 산업부 제2차관은 “국내 해상풍력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낙찰 사업 4.1GW의 성공적인 정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정부는 선행 프로젝트들이 책임 있게 완주하며, 후속 프로젝트들의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국내 해상풍력 보급 확산 기반 마련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