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일본에 이어 유럽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율도 15%로 최종 확정했다.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모두 15% 세율을 적용받는 가운데 여전히 25%의 자동차 관세를 적용받는 한국은 미국 시장에서 불리한 위치에서 경쟁하게 됐다.
24일(현지 시간) 미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는 이날 유럽연합(EU)과의 무역협정 이행과 관련한 문서를 공개했다. 여기에는 유럽산 자동차 수입에 대한 관세를 8월 1일부로 소급 적용해 현 27.5%에서 15%로 낮추는 내용이 담겼다. 일부 의약품 성분과 항공기 부품 등에 대한 관세 면제 조항도 명시됐다.
유럽산 자동차에 대한 15% 관세는 EU가 먼저 미국산 공산품 관세 철폐, 일부 미국산 농산물·해산물의 특혜적 시장 접근권 제공을 위한 입법안을 마련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EU는 지난달 28일 해당 입법안 초안을 발표하며 자동차 관세 인하 시행을 위한 사전 작업을 완료했다.
한국은 지난 7월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방안을 미국과 합의했으나 관세 협상 후속 협의를 둘러싸고 난항이 이어지면서 여전히 25% 관세가 유지되는 상태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규모 달러 현금 투자, 자금 회수 뒤 미국 90% 수익 등 무리한 요구 조건을 내건 탓이다.
이에 따라 한국 자동차 업계는 한미 무역 합의가 최종 타결되기 전까지는 미국 시장에서 불리한 상황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됐다. 최근 현대차는 관세 영향을 반영해 올해 연결 부문 영업이익률 목표치를 기존 7~8%에서 6~7%로 1%포인트 하향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