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경기 등 수도권이 버스 업계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서울에선 마을버스가 환승제 탈퇴를 선언했고, 경기지역 버스는 다음 달 총파업을 예고했다. 두 사안 모두 협상 결렬을 전제로 한 ‘조건부 카드’지만 시민 불편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파장이 크다.
서울시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이하 마을버스조합)은 23일 긴급 이사회에서 환승제 탈퇴를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최종 합의가 무산되면 내년 1월1일부터 환승 할인은 중단된다. 조합은 환승제 도입 이후 누적 적자가 1조원을 넘는다며 적자 구조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김용승 조합 이사장은 “2004년 환승제 도입 이후 승객이 지불한 요금을 전부 받지 못하는 구조가 고착화됐다”며 “현재 요금은 1200원이지만 환승을 하면 600원만 정산돼 환승객이 많을수록 손실이 커진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이 같은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시 관계자는 “환승제 탈퇴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상 운임 변경에 해당해 시의 수리를 받아야만 가능하다”며 “강행 시 사업 정지나 과징금 부과 등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어 “시민 교통 편익을 볼모로 한 압박”이라며 “교통약자와 저소득층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또 “지난 8월부터 재정 지원 기준 인상, 지원 규모 확대, 수익성 낮은 노선 지원 등을 제안했지만 조합이 보조금 인상만 요구해 협의가 진전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마을버스는 시민 생활과 밀접한 교통수단으로 서비스 개선 없이 재정 지원만 요구하는 것은 시민에게 피해를 전가하는 것”이라며 “시는 마을버스의 공공성을 지키기 위해 협의를 이어가되, 탈퇴를 강행할 경우 법적 조치와 시민 불편을 막기 위한 모든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 상황도 심각하다.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는 23일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97.4%의 찬성률로 총파업을 가결했다. 협상이 결렬될 경우 도내 노선버스의 95%가 멈추게 돼 교통대란이 불가피하다.
노조는 서울 수준의 임금 인상과 근무 형태 조정을 요구하지만, 사측은 임금 동결과 기존 근무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경기도가 추석 연휴 특별교통대책을 예고한 가운데 파업이 현실화하면 대책이 무력화될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에도 파업 예고 당일 새벽까지 협상하다 극적으로 합의했지만, 이번에도 벼랑 끝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