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국방위원회가 진영승 합참의장 후보자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채택했다.
국방위는 29일 전체회의를 열고 진 후보자의 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안건을 여야 합의로 의결했다.
국방위는 인사청문 종합의견에서 “후보자의 한반도 안보 상황에 대한 인식, 전시작전권 전환에 대한 준비, 북한의 위협에 대한 군사대비태세 완비, 국민과 국가로부터의 신뢰 및 군의 자긍심 회복 의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다만 “평양 무인기 작전과 기무사 계엄문건 관련 질문에 불분명한 답변을 해 후보자의 인식과 검토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 천명에 대한 대비 필요성 등 다양한 의견 제시 및 촉구가 있었다”며 “청문회를 통해 제기된 사항을 유념해 합참의장으로서 직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앞서 국방위는 지난 24일 진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고 후보자의 안보관 및 ‘12·3 비상계엄 사태’ 및 이재명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구상에 대한 견해 등을 확인했다.
진 후보자는 1991년 공군사관학교(39기)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했다. 그는 합참 전략기획본부장, 공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장, 공중전투사령관, 공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장, 합참 전력기획2처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합동작전과 전력 분야의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이날 국방위는 군 인명 사고와 관련해 육·해·공군과 해병대 사령관으로부터 자체 조사 결과와 재발 방지 대책 등 현안도 보고받았다. 여야 의원들은 각 군 지휘부의 인식이 안이하다며 보다 철저한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황명선 민주당 의원은 대구 수성못 육군 대위 총상 사망 사건과 관련해 무기고·총기 보관함 관리 체계가 허술했던 것이 큰 원인이라며 재발 대책을 세우라고 말했다.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은 전방 지역 군단장 5명 중 3명이 공석이라며 “실질적 권한을 가진 지휘관 없이 사고가 나지 않길 바라는 건 착각”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