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29 여객기 참사’ 유가족이 “관리 부실과 규정 위반이 만든 인재”라며 진상 규명을 요구했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사고 조사가 객관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합리적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은 “철저한 진상규명이 유가족께 위로가 될 유일한 길이라는 마음으로 모셨다”며 김유진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를 소개했다.
국토위는 이날 국정감사 증인으로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를 채택했으나, 최종적으로 증인 신청을 철회했다. 이에 김 대표는 “김이배 대표도, 사조위 조사단장도, 전 국토부 장관도 없는 국감장에 저 홀로 있다”며 “참사의 책임자들이 다 빠진 자리에 왜 나 혼자 이 자리에 서 있냐”고 지적했다.
이어 김유진 대표는 “국가의 엄중한 규정들이 지켜지지 않았고, 수많은 경고들이 무시된 결과가 참사로 이어졌다”며 “이 참사는 단순한 사고가 아닌 관리 부실, 규정 위반, 항공 안전 시스템 부재가 만든 명백한 인재다”고 말했다.
앞서 김 장관은 지난 4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방문해 유가족을 만났다. 당시 김 장관은 “사고 조사가 객관적이고 전문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유가족 측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를 국토부가 아닌 국무총리실 소속으로 이관해 독립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국토부 장관이 사고 조사에 관여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유가족의 요청을 전달받아 사조위 사무국장과 논의했다”며 “향후 저와 사무국장, 유가족이 함께 만나는 자리를 마련해 중간 조사 발표를 앞당기는 방안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문제가 되고 있는 로컬라이저(항공 방위각 시설) 콘크리트 설치에 대해서 김 장관은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약간의 문제가 있는 제주공항을 제외한 나머지 공항에 대해서는 콘크리트 둔덕을 제거하기 위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