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회계법인 최고경영자(CEO)들에게 감사품질과 회계투명성을 높여 자본시장 신뢰를 강화할 것을 거듭 주문했다.
금감원은 14일 서울 서대문구 한국공인회계사회 회관에서 ‘회계법인 CEO 간담회’를 열고 상장사 외부감사를 맡고 있는 12개 회계법인 대표들과 현안을 논의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찬진 금감원장과 윤정숙 전문심의위원, 최운열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찬진 원장은 “회계정보는 시장 참여자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돕는 자본시장의 핵심 인프라”라며 “신뢰성을 확보하려면 제3자의 객관적 검증이 필요하고 이를 외부감사제도로 구현하는 만큼 회계법인에 공공적 책무가 크다”고 말했다.
그는 “진정한 경쟁력은 단기이익 추구보다 감사품질에 기반한 ‘장기적 신뢰’ 구축에서 나온다”면서 “과도한 보수 경쟁으로 품질이 훼손되지 않도록 인력 운용과 보상체계 등에 있어 품질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건전한 지배구조와 독립성 확보도 당부했다. 이 원장은 “감사품질·공익을 핵심 가치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경영진 견제기구를 마련해야 한다”며 “네트워크 회계법인(별도 컨설팅 법인 등)의 비감사용역 수행 등으로 독립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분식회계에 대한 엄정 대응 의지도 재차 내비쳤다. 금감원은 고의적·장기적 회계부정에 과징금을 상향하고, 경미한 위반이 반복될 경우 내부회계감사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 원장은 “위반을 발견하면 단순 수정에 그치지 말고 원인과 과정을 세밀히 파악해 내부통제 취약점을 점검해야 한다”며 “고의적 분식회계에 가담하거나 이를 묵인·방조한 회계법인은 엄정 제재하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투자자 관점에서의 감사 수행과 디지털 감사 혁신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감사보고서는 기업과 자본시장을 잇는 소통창구”라며 “복잡한 금융상품과 신산업 분야는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더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AI·빅데이터 분석 등 디지털 기술을 감사목적에 맞게 활용하면 반복업무 자동화와 검증범위 확대를 통해 효율성과 효과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며 “데이터보안과 인적자원 개발에도 힘써 균형 잡힌 감사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