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촌에프앤비가 원재료 공급난과 순살치킨 중량 축소 문제로 국정감사에서 잇따라 질타를 받았다. 소비자 기만 논란부터 가맹점 피해, 공정위 신고까지 이어진 가운데 교촌 본사가 뚜렷한 개선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은 송종화 교촌에프앤비 대표를 상대로 “교촌치킨이 기존 700g이던 순살치킨 한 마리 제품을 지난달부터 500g으로 줄였지만, 가격은 그대로 유지했다”며 “이런 판매 행태는 전형적인 슈링크플레이션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중량을 줄이면서도 소비자에게 충분히 고지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홈페이지 공지만으로는 부족하다. 배달앱에는 전달이 안 된 걸로 알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교촌치킨은 2018년 프랜차이즈 업계 최초로 배달비를 도입하며 ‘2만 원 치킨 시대’를 열었다”며 “그런 과거를 고려했다면 이번 결정은 더욱 신중했어야 한다. 지금이라도 소비자에게 제대로 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송 대표는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또 공정거래위원회를 향해 “치킨은 국민 생활과 밀접한 대표 외식 품목으로 물가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며 “공정위가 소관 부처가 아니라는 이유로 소극적으로 대응해서는 안 된다. 식약처 등 유관기관과 함께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같은 날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교촌의 원재료 공급 차질 문제를 지적하며 “2019년, 2020년 원재료 공급 문제로 신고가 있었을 때 교촌이 신규 거래처 15곳을 발굴해 해결하겠다고 했지만, 이후에도 개선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2025년 자료를 보면 원재료 발주 대비 공급률이 31%, 26%, 39%로 오히려 더 떨어졌다”며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줄이고 닭다리살 대신 닭가슴살을 혼합해 단가를 낮춘 것은 공급 문제를 소비자에게 전가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교촌은 소비자 부담 전가 이전에 가맹점에 부담을 전가했다. 부족분 비용을 보상하겠다고 했지만, 실제로 보상한 사례는 단 한 건도 없다”고 덧붙였다.
가맹점들이 원재료 공급 부족으로 사입을 요청했지만, 교촌 본사는 브랜드 가치 보호를 이유로 이를 금지한 점도 문제로 지목됐다. 박 의원은 “가맹계약서에는 ‘사전 서면 승인을 받은 경우 예외로 한다’는 조항이 있음에도 본사가 사입을 막고 있다”며 “공급도 안 되고 사입도 안 되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일부 가맹점이 원재료 공급 차질을 공정위에 신고하자, 교촌 본사가 두 달 만에 ‘가맹계약 위반’을 이유로 계약 갱신 거절을 통보한 사례도 언급됐다. 박 의원은 “공정위 신고에 대한 명백한 보복조치였다”고 말했다.
이에 주병기 공정위원장은 “해당 사건은 현재 조사 중”이라고 답했고, 박 의원은 “공정위가 사업자의 불공정 행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송 대표는 “부분육 중심의 산업 구조상 수급 불안정을 겪고 있다”며 “올해는 다각도로 방안을 마련 중이고, 1~9월 원자재 판매량이 2.8% 상승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외부 사입은 본사와 가맹점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로 올 수 있기 때문에 쉽게 허용하기 어렵지만, 가맹점 생업 유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송 대표는 국내 치킨 업계 ‘빅3’ 중 유일하게 증인으로 채택돼 주목받았다. 교촌치킨은 최근 일부 순살 메뉴의 중량을 약 30% 줄이고 가격을 유지해 ‘슈링크플레이션’ 논란을 빚은 바 있으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한 가맹점주에게 재계약을 거부했다는 ‘보복성 조치’ 의혹까지 제기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