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명연, 미래 바이오기술 핵심기관 도약 박차
1953년 크릭과 왓슨의 DNA 이중나선구조 발견 을 신호탄으로 생명공학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했다. 오늘날 바이오기술은 인공지능(AI)와 디지털이 융합된 첨단 바이오로 대전환하며 경제, 사회, 안보 등 국가 모든 분야에 파급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대한민국 바이오공학 출발 198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는 정부의 기술발전계획은 기계, 전자, 정밀화학 등 기간산업에 초점을 맞춰져 생명공학 분야는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1982년 KAIST 생물공학부에 재직 중인 유치과학자 한문희 박사를 비롯한 생명공학연구자 17명이 ‘한... [이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