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新관치금융 논란에도 국내 금융지주에 대한 지배구조 개선을 강행할 예정이다. 최흥식 금감원장은 19일 금감원의 금융지주 지배구조 감독은 “감독기구의 의무 중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최 원장의 방침에 따라 KB금융과 하나금융 등 국내 금융지주사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최 원장은 이날 취임 100일을 기념해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감원의 지배구조 감독은) 통상 감독기관이 해야 할 의무 중 의무다. 안했다면 직무유기로 지적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앞서 지난 12일 KB금융과 하나금융에 대해 최고경영자(CEO) 승계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을 주문했다. 이어 다음날 최 원장은 “금융지주사 회장 후보 추천 과정이 불합리하고 불공정하다”며, 내년 1월 모든 금융지주사에 대한 정밀 검사에 나서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최 원장의 발언 이후 하나금융 사외이사인 윤종남 이사회 의장이 현직 회장의 연임은 주주와 이사들의 결정에 따르는 것으로, 정부의 민간 금융사에 대한 과도한 지배구조 개입은 신관치이자 적폐라고 주장하는 등 금감원이 과도한 관치금융에 나서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최 원장은 이러한 지적에 대해 금감원은 본연의 감독 역할에 충실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그는 “스케줄과 룰이 있는데 감독기관이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감독하지 않는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내부통제 역시 마찬가지이다. (금융지주의 경우) 그걸 결정하는 이사회의 컨플릭트 거버넌스가 제대로 작동 안해 그걸 지적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최 원장은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의 3연임을 막기 위해 금감원이 금융지주의 지배구조 개선에 나섰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그는 “지배구조법이 형성되고 난 다음 2016년 8월경에 금감원이 실태조사를 했고, 올해 들어 4곳 정도 검사했다. 그 전에도 했지만 지적한 것들이 안 지켜지고 있었다”며 “취임한 이후 특별히 추진한 것은 없다. 원래 지주사 검사 스케줄에다 잡혀 있던 것이고, 그 것에 따라서 검사한 것이다. 특정인 노려서 한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오히려 그는 관치논란에도 금감원 본연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금융회사에 금융감독 당국의 직원을 상시 파견할 수 있다는 발언도 내놓았다. 최 원장은 “금융회사에 상시파견자가 배치될 수 있다”며 “이미 상시감시 나갈 수 있는 제도가 있고, FRB는 JP모건에 100명 가까이 직원을 파견해 내부통제, 시스템 리스크, 코퍼레이트 가버넌스 등을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금감원의 강경대응 방침에 따라 하나금융의 경우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김정태 회장이 3연임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하나금융이 박문규 사외이사가 운영하는 업체의 물품을 구입하는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하나금융 노조의 조사요구가 금감원에 제기된 영향이다. 또 아이카이스트 부실 대출 의혹과 관련해 김 회장이 개입돼 있다는 노조의 주장도 있었다. 최 원장은 이러한 하나금융 노조의 조사요구에 대해서도 “조사해 보겠다, 안볼순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