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시험원, 국내 최초 자동차 증발가스 처리부품 성능평가 기반 구축

산업기술시험원, 국내 최초 자동차 증발가스 처리부품 성능평가 기반 구축

기사승인 2018-11-06 16:58:10 업데이트 2018-11-06 16:58:14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하 KTL, 원장 정동희)은 최근 친환경자동차 보급을 위한 기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자동차 연료 증발가스 처리부품(캐니스터, HC-트랩)에 대한 성능평가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구축해 제3자 성능평가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자동차 연료 증발가스 처리부품 성능평가’는 캐니스터 및 HC-트랩에 연료 증발가스를 반복적으로 흡착·탈착시킴으로써 일정 횟수 이후 나타나는 흡착성능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KTL에 따르면 최근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동차 증발가스 규제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증발가스 처리부품의 중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 완성차 및 부품제조 기업에서는 자동차 시장의 친환경 전환추세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기존 부품의 업그레이드와 더불어 신규부품 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그동안 국내에는 해당부품에 대한 시험평가 인프라가 전무해 제품개발에 애로사항이 많았다.

이는 제조기업이 자체적으로 성능시험을 하는 경우에는 성능시험 결과에 대한 신뢰성 문제가 항상 대두됐고 해외기관에 의뢰하는 경우에는 오랜 시간과 고가의 비용이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산업기술시험원은 2015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나노융합2020사업’연구과제에 참여해 지난해 12월 3년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동차 부품(캐니스터, HC트랩)의 성능시험 방법에 대한 단체표준을 개발해 제정했다. 또 올해 1월 연료증발가스 포집기 성능평가장치에 대한 특허를 획득했다.

KTL 측은 앞으로 국내 완성차 및 부품제조 기업의 품질과 성능을 확보하고 제품개발 애로사항도 적극 해소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HC-트랩을 생산하는 자동차 부품제조기업 ㈜한국필터텍의 황경호 박사는 “그동안 국내 평가기관이 없어 높은 수수료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분석기간을 감내하고도 해외 평가기관에 의뢰해왔다. KTL의 이번 시험업무 개시로 제품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조연행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환경기술본부장은 “앞으로 KTL은 자동차 증발가스 처리부품 제조기업의 성능평가 애로사항을 적극 해소하고, 맞춤형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친환경분야의 시험평가업무를 지속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중소·벤처기업이 어려움 없이 친환경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기술지원에 힘써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